매일신문

이철우 "행정통합은 완전한 자치권 확보가 관건"···실무 협상 첫 스타트(종합)

22일 SNS 통해 이 같이 밝혀···통합 시·도 명칭, 청사 위치는 '주민 의견 수렴'부터
대구시·경북도 정책기획관 도청에서 첫 실무 협상도 시작···일정, 참여부서 등 조율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대구경북(TK) 행정통합의 방향에 대해 '완전한 자치권 확보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통합 이후 시·도 명칭, 청사 위치 등에 대해선 주민 의견 수렴이 최우선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 도지사는 22일 자신의 SNS를 통해 "TK 행정통합 시에는 중앙정부권한을 대폭 이양하고, 교육·경찰·행정·자치 통합 등을 통해 미국의 주(州) 정부처럼 운영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만들어 달라고 윤석열 대통령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에게 건의했다"고 밝혔다.

향후 일정에 대해서는 다음달 초 대구시·경북도, 행정안전부, 지방시대위원회 등 4개 기관장 회동을 통해 의견 조율 등이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이 도지사는 "대통령께서도 행안부 장관에게 대구시장과 경북지사를 만나서 의견을 듣도록 지시했다"며 "지난번 TK통합 공론화위원회에서 만든 안을 참고해, 더욱 자치권이 강화된 대안을 만들기 위한 TF도 곧 발족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가장 중요한 건 시·도민 공감대 형성이 제일 조건"이라며 "통합 명칭, 청사 위치 등 민감사항은 충분한 논의 과정이 필요하므로 언급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 페이스북 캡쳐.
이철우 경북도지사 페이스북 캡쳐.

이런 가운데 이날 경북도청에서는 대구시·경북도 정책기획관이 만나 첫 실무협의도 시작했다. 이날 김진혁 대구시 정책기획관과 유정근 경북도 정책기획관은 첫 회의를 통해 행정통합 실무 협의 일정, 참여 부서 등을 조율했다. 다음 실무 협의는 대구시청에서 열릴 예정이다.

경북도는 실무 협의에 기획조정실, 지방시대정책국, 자치행정과, 대변인, 경북연구원 등 7~8명 정도가 참여한다. 대구시도 비슷한 규모로 실무 협의진을 꾸릴 계획으로 전해진다.

실무 협의에서는 통합 내용, 일정, 방법, 시·도 테스크포스(TF) 구성 등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이와 별개로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지난 21일 행정안전부를 찾아, 행안부·지방시대위원회 등 중앙 정부 차원에서 행정통합 지원책, 계획, 방향성 제시 등을 요청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각 시·도 정책기획관이 상견례 차원에서 만나, 실무 협의와 앞으로 통합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며 "앞으로 실무협상에선 TF 운영 등 통합 절차 추진에 대해서 논의 등이 본격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