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시절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 전망치를 축소·왜곡하라고 지시하고 이를 관철시켰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왔다.
감사원이 4일 발표한 '주요 재정관리제도 운영실태' 감사 결과에 따르면 홍 전 부총리는 2020년 7월 장기재정전망을 내놓을 때 2060년 국가채무비율을 세 자릿수로 높게 발표될 경우 직면하게 될 비판 등을 우려해 '두 자릿수로 만들라'고 지시했다.
이 과정에서 전망 전제와 방법을 임의로 변경해 잘못된 전제를 적용, 애초 153.0%였던 수치를 81.1%로 변경했다고 감사원은 지적했다. 국가채무비율은 정부 재정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국가채무비율이 낮을수록 정부는 더 적극적으로 재정을 쓸 수 있다.
기재부는 2020년 7월 국가채무비율 전망치를 가늠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2060년 국가채무비율을 최소 111.6%, 최대 168.2%로 산출했다. 이에 대해 홍 전 부총리는 100%가 넘는 국가채무비율은 "국민이 불안해한다"며 2060년 국가채무비율을 두 자릿수로 낮추라고 지시했다고 감사원은 전했다.
특히 홍 전 부총리는 국가채무비율을 낮추기 위해 핵심 전제를 '재량지출 증가율을 경제성장률에 연동'한다에서 '총지출 증가율을 경제성장률의 100으로 연동'하는 것으로 바꾸라는 등 구체적 방법까지 제시했다고 한다.
기재부 A국장은 부총리의 부당한 지시에 반론이나 우려를 제기하지 않고 시행해 2060년 국가채무비율 전망치 '81.1%안'을 부총리에게 보고했다. 이는 같은 해 9월 최종 발표되고 국회에 제출됐다.
감사원은 "재정 상태 진단이라는 장기재정전망 역할과 목적에 따라 전망 과정에서는 정부 의지가 개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대원칙"이라며 "2060년 국가채무비율을 두 자릿수로 축소·왜곡해 장기재정전망의 객관성·투명성 및 정부 신뢰를 훼손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홍 전 부총리 비위 행위에 대해 국가공무원법 위반으로 판단하고 관련 인사 자료가 공직 후보자 등의 관리에 활용될 수 있도록 인사혁신처에 알리도록 기재부에 통보했다.
이와 관련, 홍 전 부총리는 별도 입장문에서 "의견과 판단을 달리하는 여러 지적이 있을 수 있겠지만 당시 재정 여건과 예산 편성, 국가채무, 대외관계를 모두 감안해 최선의 판단을 내렸다"고 반박했다. 경제 컨트롤타워로서 정책 판단의 영역이지 감사원 주장처럼 왜곡을 따질 사안이 아니라는 취지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