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7·23 전당대회에서 한동훈 후보가 신임 당 대표에 선출됐다. '한동훈 대세론'으로 출발했지만 후보들 간 격렬한 공방전(攻防戰)과 갖가지 논란이 이어지면서 선거가 혼전 양상을 보인다는 전망도 있었으나 과반인 62.8%를 득표, 결선투표 없이 승리를 확정 지었다. 승리했지만 한동훈 신임 대표는 당정(黨政) 관계 개선과 당내 갈등(葛藤) 봉합이라는 큰 숙제를 안게 됐다.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는 '분당대회(分黨大會)' '자폭대회(自爆大會)'라는 비판이 나올 정도로 갈등이 심각했다. '배신 정치' 논란에다 김건희 여사가 지난 총선 과정에서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에게 보낸 '명품 백 사과 의향' 문자를 한 후보가 읽고도 답하지 않았다는 이른바 '읽씹' 공방이 펼쳐졌다. 또 한 후보가 '나경원 후보가 패스트트랙 사건 공소 취소 청탁을 했다'고 폭로(暴露)하면서 '위법 논란'과 함께 '당 대표 자격 논란'까지 나왔다.
이번 전당대회 당원 투표율이 48.51%를 기록, 지난해 3·8 전당대회 55.10%보다 6.59%포인트나 떨어진 것은 전당대회 과정의 '막장 싸움'에 대한 당원들의 실망감이 투영된 결과라고 본다. 이런 자멸(自滅) 싸움은 총선을 진두지휘했던 한동훈 후보가 패배의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전격적으로 출마한 것이 큰 원인이다. 물론 한 후보의 명분 약한 출마를 이유로 전당대회를 '퇴행(退行)'으로 몰아간 타 후보들 책임도 크다. 그래서 7·23 전당대회는 모두가 패자(敗者)가 되고 말았다는 비판까지 나오는 것이다.
전당대회는 끝났지만 후유증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 대표가 원외 인사라는 점에서 당의 모든 자원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도 많을 것이다. 한 대표는 전당대회 과정에서 증폭된 내부 분열을 정리하고, 당정 화합에 힘을 쏟으며, 분명한 대야 투쟁(對野鬪爭)으로 국민과 당원의 전폭적인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제 전당대회가 끝난 만큼 패한 후보들과 그 지지층도 보수·우파를 지키고, 대한민국을 지키는 데 힘을 합쳐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