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은행들이 지난 2019년 이후 희망퇴직자들에게 법정퇴직금을 제외하고도 더 얹어준 돈이 6조5천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영업 중인 14개 은행은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희망퇴직자들에게 총 6조5천422억원을 희망퇴직금 명목으로 지급했다. 이 기간 14개 은행에서 희망퇴직한 직원은 총 1만6천236명으로, 1인당 평균 4억294만원에 달하는 희망퇴직금을 받은 셈이다.
각 은행들은 법정퇴직금 외에 보통 특별퇴직금, 자녀 학자금, 재취업 지원금 등을 포함해 희망퇴직금을 지급해왔다. 일부 은행은 건강검진비와 의료비, 상품권을 지원하기도 했다.
은행별로 보면, 한국씨티은행이 2021년 2천130명의 희망퇴직을 받아 14개 은행 중 가장 많은 1조2천794억원을 희망퇴직금으로 지급했다. 1인당 평균 희망퇴직금도 6억68만원에 달해 가장 많았다. 일부 직원은 7억7천만원에 육박하는 희망퇴직금을 챙긴 경우도 있었다.
KB국민은행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희망퇴직을 받아 총 3천323명에게 1조2천467억원의 희망퇴직금을 지급했다. 1인당 평균은 3억7천519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방은행들도 희망퇴직자 수는 적은 편이지만 주요 시중은행보다 많거나 비슷한 수준의 희망퇴직금을 지급했다.
특히 iM뱅크는 시중은행 전환 전인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326명에게 1천512억원을 지급, 1인당 평균 희망퇴직금이 4억6천391억원에 달해 씨티은행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iM뱅크 관계자는 "최근 몇 년간 정년퇴직에 가까운 부점장급의 희망퇴직이 많았다. 호봉이 높은 희망퇴직자의 비중이 높아 평균 금액도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천 의원은 주요 은행들의 희망퇴직자 퇴직금 잔치에 대해 "이자 수익으로 막대한 수익을 얻는 시중은행의 퇴직금 잔치가 지나친 것으로 보인다"며 "수익의 사회 환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