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우린
저 강물과 같아서
서로의 수심(水深)을
두려워하지 않을 때
비로소
유속이 생긴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밀고 당기고
마침내
깊이에 다다른다
〈시작노트>
강이 두려운 것은 그 속을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강의 윤슬은 그러한 두려움을 일거에 무화시킵니다. 그(그녀)를 외면하는 것 또한 그 속을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상대의 얼굴에 윤슬과 같은 미소가 어릴 때, 그 미소 아래 진실이 관류하고 있음을 알 때 비로소 두 팔을 벌릴 수 있습니다. 합수된 흐름의 깊이를 계량화할 수는 없습니다. 아니,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사랑은 더하고 빼고의 문제가 아니라 '있음'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있음으로 완성되는 사랑. 세상이 그런 공식으로 영위되기를 희구합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