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 관세가 시작된 지 13시간여 만에 90일간 유예(猶豫)를 발표했다. 철강, 자동차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 25%는 그대로이며, 나머지는 10% 기본 관세만 부과한다. 보복 관세로 대응한 중국에 한해선 관세를 104%에서 125%로 올렸다. 갑작스러운 변화의 배경에 대해 설왕설래하지만 속내를 알 수 없는 트럼프의 전략이 우리에게 한숨 돌릴 여유를 준 것은 틀림없다. 미국 증시가 요동치고 무차별적 관세 전쟁에 대한 비판과 우려가 터져나오자 일단 전선(戰線)을 중국으로 국한한 것으로 보이는데, 오는 6월 3일 대선을 거쳐 새 정부 출범 후 대미 협상에 나설 수 있게 된 점은 다행이다.
물론 미국이 속전속결 협상을 요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고, 중국에 125% 관세를 부과한 풍선효과도 우려스럽다. 미국의 관세 장벽에 막힌 중국산 덤핑 제품이 한국 등으로 쏟아져 들어온다는 말이다. 무엇보다 트럼프가 '원스톱 쇼핑'이라는 표현을 써 가며 무역 및 관세뿐 아니라 안보 등 다양한 현안(懸案)들을 함께 다루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은 상당한 부담이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주한미군 주둔 비용 중 한국 부담액) 증액과 주한미군 주둔 등을 함께 논의하겠다는 것인데, 집권 1기 때에도 '수십억달러'(수조원) 규모의 방위비 분담금을 거론한 바 있다. 경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원하는 한국 정부에 방위비 분담금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협상하자는 뜻이다.
우리로선 유예 기간을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중국과의 협상을 지켜보며 안보와 경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복안(腹案)을 찾아야 한다. 미국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비관세 장벽 철폐, 방위비 분담금 대폭 증액이다. 이에 대응해 우리가 내밀 확실한 전략적 카드를 찾아야 한다.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시설 건립 및 우라늄 농축 시설 확보 등도 언급할 만한 사안이다. 섣불리 대응하기보다 막판까지 협상의 묘미를 살려야 한다. 동시에 충격을 최소화할 대비책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