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트럼프 "6월부터 EU 수입 상품 50% 관세 고려"

"협상 아무런 진전 없다" 비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 수입 상품에 6월 1일부터 곧바로 상호관세 50%를 부과하는 것을 관련 부서에 제안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이들과의 협상이 아무런 진전이 없다"면서 "EU가 교역에서 미국을 제 이익을 위해 이용하고 협상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이어 "그들의 강력한 무역 장벽과 부가가치세, 터무니없는 기업 징벌, 비통화적 무역 장벽, 통화 조작, 미국 기업에 대한 불공정하고 정당하지 않은 소송 등으로 인해 미국은 연간 2억5000만 달러(약 3400억원)의 무역 적자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 만들어진 상품에 대해서는 관세가 전혀 붙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따르면 2024년 EU에 대한 미국의 상품 무역적자는 2천356억 달러(약 324조원) 규모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달 2일 57국에 대한 상호 관세를 발표하며 EU에 대해 20%의 관세율을 책정했었다. 이후 트럼프가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 상호 관세 적용을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밝히면서 7월초까지는 10%의 기본관세만 적용될 예정이었다.

이날 트럼프의 발표대로라면 EU에 대한 상호 관세가 지난 4월 발표된 20%의 2.5배 수준인 50%로 더 올라가게 된다. EU는 미국 관세 발효에 대응하기 위해 210억 유로(약 33조원) 상당의 보복관세를 계획하고 있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유예 결정이 나오자 7월 14일까지 90일간 보류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과 EU의 고위 무역 당국자들은 23일 통화하며 관세 협상의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었다"며 "G7(7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22일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참석한 3일 간의 경제 정상회의를 마친 후 '무역'이라는 단어를 단 한 번만 언급하고 관세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모호한 성명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대표 빅테크 기업인 애플에 대해서도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옮기지 않을 경우 최소 25%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언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