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여성단체 "대선에 성차별 없는 노동 공약 포함돼야"

"국가 난제 해결 위해서라도 성평등 노동 확립 필요"

27일 대구여성노동자회와 전국여성노동조합 대구지부는 5월 25일부터 31일까지인 여성비정규직 임금차별타파주간을 맞아 대구 중구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앞에서 대선 후보들의
27일 대구여성노동자회와 전국여성노동조합 대구지부는 5월 25일부터 31일까지인 여성비정규직 임금차별타파주간을 맞아 대구 중구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앞에서 대선 후보들의 '성차별 없는 노동' 공약 제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지효 기자

대선을 일주일 앞둔 시점, 대구 여성단체가 대통령 후보들을 향해 노동 시장에서의 성평등 확립을 요구했다.

27일 대구여성노동자회와 전국여성노동조합 대구지부는 5월 25일부터 31일까지인 여성비정규직 임금차별타파주간을 맞아 대구 중구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앞에서 대선 후보들의 '성차별 없는 노동' 공약 제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지난 17일 여성가족부가 2023년 국가성평등지수가 2010년 공개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고 발표한 점과 한국이 28년째 OECD 회원국 중 성별 임금격차가 가장 크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저출생·경제성장 정체 등 국가적 난제와 맞닿은 성별 임금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주장했다.

이들의 요구안에는 ▷모든 시민의 돌봄권 보장 ▷청년여성이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사회 ▷성평등 공시제 도입 등으로 성별임금격차 해소된 일터 ▷성희롱·성차별과 임금 체불 등으로부터 안전한 일터 ▷모든 노동자들의 노동자성 인정 및 보호가 포함됐다.

또한 이들은 여성노동자회·전국여성노동조합에서 지난 4월 28일부터 5월 22일까지 온라인에서 진행한 786명(여성 87.8%, 남성 6.10% 등) 규모의 설문조사 결과를 제시하며 성별 임금 격차 문제 등을 지적했다. 응답자들은 일터에서 경험한 문제로 낮은 임금(28.5%), 불안정한 고용형태(15.6%), 수직적 직장문화(11.2%) 등을 꼽았다. 성평등 노동 실현을 위한 정부의 시급 과제로는 성별임금격차 해소(43.4%), 고용안정(15.5%), 성차별적 직장문화개선(13.9%) 등이라 답했다.

남춘미 대구여성노동자회 대표는 "2023년 이후 여성 노동자 규모는 1천만 명을 넘어섰으나, 지난해 기준 시간제 비중이 30%에 달하고 전체 여성 노동자 중 절반 이상이 비정규직인 등 고용의 질은 악화하고 있다"며 "여러 연구를 통해 임금 격차는 성차별적 성별 고정관념의 문제라는 점이 드러났고 세계 선진국들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국가 발전을 위해 구체적 해결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