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은 반드시 원자력 발전에 투자해야 한다."
글로벌 AI 리더로 평가받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대만 정부에 일침을 날렸다. 원전 없이 AI 개발 등 관련 프로젝트를 성공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대만은 지난달 17일 마지막 원자로 가동을 중지했다. 공식적으로 탈원전 국가가 된 것이다.
특히 엔비디아는 대만 반도체업체인 TSMC, 전자제품 제조업체인 폭스콘 등과 손잡고 대만에 AI 슈퍼컴퓨터 구축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대만을 대표하는 IT 기업과 함께 프로젝트를 실행하면서 엔비디아의 해외본부를 대만에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이다. 이 프로젝트가 순항하기 위한 전제가 바로 원전 가동이라는 것이다.
대만 자유시보 등 현지 언론은 젠슨 황 CEO의 우려를 그대로 전했다. 젠슨 황 CEO는 지난달 24일 대만에서 열린 'AI 트렌드 인사이트 서밋' 연설에서 "향후 10년간 AI 산업의 가장 큰 과제는 에너지 문제"라며 "풍력, 태양광, 원자력 등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만은 원전에 반드시 투자해야 한다. 에너지가 사회적 낙인이 돼선 안 된다"고 꼬집었다.
대만 정부로서는 젠슨 황 CEO의 발언이 곤혹스럽다. 젠슨 황 CEO는 대만계 미국인으로 대만에서 그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만은 6기의 원전을 가동했지만 2016년 민주진보당 소속 차이잉원 전 총통의 8년 집권기 동안 탈원전을 추진했다. 같은 민주진보당 소속 라이칭더 현 총통도 탈원전 정책을 이어받으면서 결국 마지막 원자로인 마안산 원전 2호기 가동이 지난달 17일 멈췄다.
대만 정부의 탈원전 기조를 반대하는 목소리는 거세다. 야당인 국민당은 젠슨 황 CEO의 발언이 있은 이튿날인 지난달 25일 "산업계의 잇따른 경고에도 라이칭더 총통은 원전 재가동 목소리를 외면하고 있다"며 "경제 발전을 도외시하고 국가 안보를 위태롭게 하는 심각한 도박"이라고 정부를 강도높게 비판했다. 또 다른 야당인 민중당도 "민진당의 탈원전 정책은 이성과 과학, 실용에 위배된다"며 정부의 빈약한 에너지 안보관을 지적했다.
대만은 탈원전 시작 이후 만성적인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대규모 정전사태가 네 차례 있었고, 전기 요금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여소야대 구도의 대만 입법원(우리의 국회에 해당)이 법적 장치를 동원한 배경이다. 기존 40년이던 원전 수명을 60년으로 20년 더 늘리는 관련 법 개정안을 지난달 15일 통과시켰다. 지난달 20일에는 마안산 원전 1·2호기 재가동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 시행 방안도 통과시켰다.
댓글 많은 뉴스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尹지지 후보 없으면 내가 당대표 출마"…입당후 논란 계속
[단독]경북 울진서도 시험지 유출 시도 의혹… 학생·학부모 "학교 대응미흡"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