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VIP 격노설'의 실체와 관련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수행부관이 최근 순직해병특검 조사에서 회의 당일 대통령 부속실로부터 '대통령이 장관과 통화를 원한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실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 전 장관의 수행부관을 지낸 육군 김모 중령은 최근 순직해병특검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 이처럼 진술했다. 이 전 장관 수행부관이 당시 상황에 대해 입을 연 것은 채상병 사망 사건 발생 후 약 2년 만에 처음이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채상병 사건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격노'했다는 2023년 7월 31일 이 전 장관의 행적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회의 참석자들은 윤 전 대통령이 주재한 외교안보 수석비서관 회의는 당일 오전 11시쯤 시작했고 회의 후반부쯤 임성근 전 사단장 등 8명을 혐의자로 적시한 해병대 수사단 조사결과를 보고받고 윤 전 대통령이 격하게 화를 냈다고 증언하고 있다.
통화기록에 따르면 김 중령은 이날 오전 11시 53분쯤 개인 휴대전화로 '02-800-7070' 번호의 전화를 받았다. 대통령 부속실 직원이 건 전화였다고 한다.
김 중령은 특검 조사에서 부속실 직원이 '대통령이 장관을 찾아서 연결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되냐'고 물어 '장관 휴대전화로 전화하면 된다'고 답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둘 간의 통화 시간은 약 17초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통화가 끝난 지 불과 16초 뒤인 오전 11시 54분쯤 이 전 장관 개인 휴대전화로 '02-800-7070' 번호의 전화가 다시 걸려 왔다. 바로 윤 전 대통령이었다. 이 통화는 2분 48초 동안 이뤄졌다.
이 전 장관은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가 종료되고 18초 뒤인 오전 11시 57분쯤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전화해 초동조사 기록 경찰 이첩 보류와 국회·언론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
대통령과의 통화를 계기로 본인이 결재까지 한 보고내용을 하루 만에 뒤집은 것이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당시 통화에서 이 전 장관을 질책하면서 사단장을 혐의자에서 제외하라는 등 구체적인 지침을 내린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이 전 장관은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 사실을 2년간 함구하다 뒤늦게 시인했지만 해당 통화에서 대통령으로부터 특정인을 혐의자에서 제외하라는 지시를 받은 적 없고, 이첩 보류 지시는 순전히 자신의 판단이었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김 중령은 이 전 장관이 윤 전 대통령과 통화했을 당시 같은 사무실에 있었지만, 거리가 떨어져 있어 구체적인 통화 내용은 듣지 못했다고 특검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