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첫 10일간 수출이 1년 전보다 4.3% 감소한 147억달러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발(發) '관세 쇼크'에도 2개월 연속 플러스(+) 전환했던 수출 증가세가 꺾이는 모양새다.
관세청은 11일 "이달 1일~10일 수출입 현황에서 이 기간 수출은 147억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6억6천만달러(4.3%) 줄었다"고 밝혔다. 수입은 159억달러로 25억달러(13.6%) 감소해 12억달러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이 38억9천700만달러로 12.0%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 비중은 26.5%로 1년 전보다 3.9%포인트(p) 늘었다. 선박(81.3%)과 승용차(8.5%) 수출도 늘었다.
반면 석유제품 수출은 12억2천300만달러로 19.4% 감소했고, 무선통신기기(-4.5%)와 철강제품(-18.8%) 수출도 줄었다.
국가별 수출에서는 최대 수출국인 중국이 28억8천만달러로 10.0% 감소했다. 미국(20억7천만달러, -14.2%)과 유럽연합(9억7천200만달러, -34.8%) 수출도 큰 폭으로 줄었다.
베트남(16억4천500만달러, 4.1%)과 대만(11억5천300만달러, 47.4%) 수출은 늘었다. 싱가포르 수출은 162.5% 급증한 9억3천100만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에서는 원유(28억400만달러, -14.2%)와 반도체(20억7천700만달러, -8.4%), 가스(8억9천800만달러, -29.5%) 등이 감소했다. 에너지 전체 수입액은 17.7% 줄었다.
수입 상위국인 중국(32억3천100만달러, -11.1%)과 미국(16억9천400만달러, -18.7%) 수입이 모두 감소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이번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1년 전보다 9.3%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은 지난달 7일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 15%를 발효했다.
지난달 31일 미국과의 관세 협상 합의에서는 한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내용이 담겼지만, 합의 발표 이후에도 적용 시점은 미정이다.
또한 미국이 반도체에 품목 관세 100%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면서 '수출 효자' 품목인 반도체의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댓글 많은 뉴스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대통령 '특정인 면죄부' 견제 없는 사면권…무소불위 권력 지적
"배신자" "음모론자" 두 쪽 나버린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
국힘, '전당대회 방해' 전한길 징계 절차 개시…"조속히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