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와 경북대 첨단복합 생명과학 교육연구단이 최근 'AI 신약개발 심포지엄 2025: 미래 의약 혁신'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인공지능(AI) 기술이 신약개발에 미치는 영향과 미래발전 방향을 살피고 산·학·연·관 협력을 통한 혁신신약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진행했다.
현장에는 국내 인공지능 신약개발 전문가와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관계자, 연구기관 및 대학 연구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심포지엄에서는 케이메디허브를 포함한 국내 산·학·연 연구자들이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의 학술적 접근부터 현장적용 경험, 성공사례 및 한계, 인공지능 신약개발의 현주소와 방향성 등에 대해 발표했다.
K-MEDI hub에서는 AI분자설계팀 한민우 선임연구원이 AI 활용 혁신신약 공공포털 플랫폼 'KAIDD'를 소개했으며, 박광수 계명대 약학대학 교수는 의약화학자의 관점에서 본 AI기반 신약개발 전략 및 사례를 공유했다.
이어 전민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전사체 데이터를 활용한 AI 신약개발 접근법과 실제 응용 가능성 논의했다.
이해승 부산대 약학대학 교수는 다중 오믹스(Omics) 데이터를 통한 데이터 기반 신약 발굴 방법 제시를 발표했다. 최하영 경북대 수학과 교수도 수학적 관점에서 본 AI 알고리즘의 원리와 신약개발 응용 가능성을 설명했다.
박구선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인공지능은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인공지능 신약개발을 위해 산·학·연·관이 함께 모이는 소통의 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난 충직한 일꾼…오직 국민만 믿고 직진"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
"함께 보실 분"…李대통령, 내일 영화 '독립군' 국민 동반 관람
윤준병 "조국 사면 이후 사람들 침묵을 '아빠찬스' 동의로 해석하는 건 잘못"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