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과 포드자동차와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 합작법인인 '블루오벌SK'가 20일 미국 현지 공장에서 첫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
SK온은 이날 미국 켄터키주 글렌데일에 위치한 블루오벌SK 켄터키 1공장에서 약 37GWh(기가와트시) 규모로 포드의 전기 픽업트럭인 'F-150 라이트닝'과 전기 화물밴인 'E-트랜짓'에 탑재되는 배터리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 공장에서는 향후 포드와 링컨의 미래 전기차 모델에 들어갈 배터리도 생산할 것으로 알려졌다.
SK온과 포드는 2022년 7월 블루오벌SK를 설립하고 총 114억 달러(약 16조원)를 투자해 미국 켄터키주 글렌데일과 테네시주 스탠튼 두 지역에서 배터리 공장 3개를 건설하기로 했다.
테네시 공장은 내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켄터키 2공장 가동 시점은 미정이다. 블루오벌SK는 시장 수요와 사업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남은 공장들의 가동 시점을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으로 미국 현지화가 중요해진 가운데 SK온은 이번 블루오벌SK 켄터키 1공장 가동으로 조지아주에 위치한 자체 공장 'SK배터리아메리카'에 더해 미국 내 생산 역량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됐다.
2022년 생산을 시작한 SK배터리아메리카는 최근 배터리 셀 생산 라인이 100% 가동 중인 것으로 알려지며 SK온의 북미 사업 호조를 견인하고 있다. 또 SK온은 미국 내 생산 시설 추가에 따라 향후 북미 지역에서 수주한 물량에 더욱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전망이다.
포드는 켄터키1공장 가동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배터리 물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최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3만달러대 중형 전기트럭 출시 계획을 밝힌 포드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생산하는 합작 공장의 가동으로 한층 다변화된 전동화 전략을 추구할 수 있게 됐다.
마이클 아담스(Michael Adams) 블루오벌SK 최고경영자(CEO)는 "켄터키 1공장에서 차세대 전기차에 탑재될 배터리를 생산하게 돼 기쁘다"며 "이번 생산 개시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중요한 이정표"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날 개최된 SK그룹 '이천포럼 2025'에 참석한 이석희 SK온 CEO는 미국 투자 계획을 묻는 질문에 "투자 불확실성이 있어 권역별로 잘 대처해 나가도록 하고 있다"고 답했다. 배터리 업계는 오는 25일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추가 투자계획이 발표될 것인지 주목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