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가 오는 11월 대구 동촌점 문을 닫기로 했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개시한 이후 대구 지역 점포를 폐점하는 두 번째 사례다.
3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오는 11월 16일 동촌점과 수원 원천점, 부산 장림점, 울산 북구점, 인천 계산점 등 5개 점포 영업을 중단하기로 하고, 직영 직원 468명을 대상으로 전환 배치 면담을 진행 중이다.
이들 점포는 임대료 조정 협상이 결렬되면서 폐점을 결정한 15개 점포 중 일부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회생 절차를 개시한 이후 임차점포 68곳 임대주와 임대료 인하 협상을 진행했으나 합의를 이루지 못한 점포 15곳을 폐점한다고 밝힌 바 있다.
5개 점포 폐점 결정은 "연말 영업 차질 최소화와 회생절차 일정을 고려한 조치"라는 게 홈플러스 입장이다. 나머지 10개 점포는 내년 5월까지 순차적으로 폐점할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이들 15개 점포에서 임대료 지불 등으로 연간 800억원 상당의 영업손실을 내 왔다고 주장했다.
당초 홈플러스는 오는 11월 문을 닫는 5개 점포 임대주와 오는 2036년 12월 말까지 임대차 계약을 맺은 상태였다. 나머지 10개 점포 계약 기간도 10년 넘게 남아 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15개 점포에 채무자회생법에 근거한 해지권을 적용했다. 잔여 계약 기간 임대료는 손해배상금으로 청구되고 법원 판단에 따라 최종 확정된 금액이 회생채권으로 전환된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 대형마트는 작년 말 126개에서 이날 기준 123개로, 익스프레스(슈퍼마켓)는 308개에서 300개로 줄었다. 임대료 조정 결렬 점포와 별개로 폐점이 결정된 9개 점포들도 폐점을 진행 중이다. 대구 내당점의 경우 지난 13일 문을 닫았다. 홈플러스 대형마트 수는 오는 2027년까지 102개로 줄어들 전망이다.
홈플러스는 영업 종료가 결정된 점포 중 만성 적자에 시달리던 점포를 제외하고 내당점과 부천 상동점, 부천 소사점, 서울 동대문점, 부산 반여점, 광주 계림점, 순천 풍덕점 등 모두 11개 점포에 대해서는 재입점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야고부-석민] 여론 조사? 여론 조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