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6.27대책 이후 전국 거래 반토막에도 서울은 오름세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서울 응봉산에서 바라온 강남구 압구정동, 청담동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응봉산에서 바라온 강남구 압구정동, 청담동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6.27 부동산 규제 이후 대구·경북 지역 등 전국 아파트 매매 시장 거래량이 급감했지만, 서울 아파트 가격은 오름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3만8천4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6월 한달간 거래량 5만3천220건 대비 큰폭으로 거래량이 감소했다.

지방에서도 대구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6월 2천202건에서 8월 1천620건으로 600건 가까이 줄었고, 경북도 6월(1천855건)보다 8월(1천637건)이 200건 이상 감소했다.

서울은 거래량 급감에도 불구하고 거래가격은 종전과 비교해 여전히 1% 내외 상승률을 유지하며 수도권 내에서 독자적인 강세를 이어갔다.

서울은 줄어든 거래 속에서도 7월·8월 모두 56%, 53%가 상승 거래였다. 평균 상승 변동률도 1%대를 유지하며 수도권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경기와 인천은 6월 50% 수준이던 상승 거래 비중이 7·8월 절반 이하로 축소됐다.

서울은 8월 기준 25개 자치구 중 19곳이 종전 거래 대비 높은 가격으로 절반 이상 거래됐다. 용산은 8월 거래가격이 종전 대비 4.28% 상승했고, 광진·중구·마포·강남·강동 등 도심 중심지역에서도 강세를 보였다.

경기 지역은 과천과 분당의 거래 중 60%이상이 8월 상승거래가 차지했다. 그러나 외곽 지역에서는 하락·보합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기도 해 지역별 편차가 컸다.

지방은 6·27 대책 영향권에서 벗어나 거래량 감소 폭이 수도권보다 크지 않았다.

직방 관계자는 "6·27 대책 이후 아파트 시장은 거래량 급감과 가격 양극화라는 두 가지 특징을 보였다"며 "거래량은 전국적으로 줄었지만, 서울은 여전히 상승 거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국지적 강세를 이어갔고, 경기·인천은 외곽 지역 중심으로 약세가 나타나면서 수도권 내부에서도 온도차가 뚜렷한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