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가 전산망 복구율 17%…정부 '4주 복구' 공언 사실상 무산 위기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G드라이브 전소, 12만5천명 업무자료 소실 추정
백업 체계 부재 드러나 정부 관리·감독 도마 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를 수사하는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이 2일 오전 국정자원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지난달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를 수사하는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이 2일 오전 국정자원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지난달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

국가 전산망을 관리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가 발생한 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복구율은 17%대에 머물고 있다. 정부가 약속했던 '4주 내 복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비관적 전망이 커지고, 관리·감독 부실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 화재로 피해를 입은 행정정보시스템은 총 647개다. 이 가운데 2일 낮 12시 기준으로 복구된 시스템은 112개(1등급 업무 21개 포함)에 불과하다. 전체 복구율은 17.3%로, 사고 발생 엿새째에도 회복 속도는 더디다.

정부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전문 인력을 긴급 투입했다. 분진 제거 작업은 애초 계획(2주)에서 절반으로 단축해 5일까지 완료하고, 통상 한 달 이상 걸리는 전원 연결도 10일 내로 끝내 11일까지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피해 규모가 워낙 커 복구 작업은 지지부진하다.

특히 국가공무원들의 업무용 클라우드 'G드라이브'가 전소하면서 74개 기관, 12만5천 공무원의 업무 자료가 사실상 소실됐다. 인사혁신처는 모든 자료를 G드라이브에만 보관해 업무가 전면 중단된 상태다. 더 큰 문제는 피해 시스템 중 248개가 이중화·백업 체계조차 없어 '데이터 영구 소실'이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거론된다.

클라우드 업계 한 관계자는 "96개 시스템은 작지 않은 규모고, 민감한 데이터도 많아 4주는 빠듯한 기간일 것"이라며 "정부가 제시한 일정은 최대한 타이트하게 잡은 수치로 보인다. 화재 원인 규명 절차까지 고려하면 정상 복구까지 상당한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은 이날 수사 인력 30여 명을 투입해 국정자원 본원과 공사업체 3곳 등 4곳을 압수수색했다. 경찰은 배터리 이전 과정이 절차대로 진행됐는지, 잔류 전류 차단 조치가 적절했는지 등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경찰은 당초 국정자원 측에 자료 임의제출을 요구했지만 협조가 원활하지 않아 강제 수사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복구 속도가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기 위해서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휴 내내 멈추지 않고 끝까지 책임 있게 복구와 정상화 이뤄서 민생안정 확보에 전력 다할 것"이라는 말로 신속한 복구를 약속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