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의회 '빈집 활용 연구회', 지역 맞춤형 빈집 활용 방안 모색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구미시립양포도서관서 중간보고회… "경북형 모델 개발에 총력"

경상북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경상북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경상북도 빈집 활용 연구회(대표 백순창 도의원)'는 15일 구미시립양포도서관에서 '경상북도 빈집활용 방안 연구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경북도의회 제공

경상북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경상북도 빈집 활용 연구회(대표 백순창 도의원)'는 15일 구미시립양포도서관에서 '경상북도 빈집활용 방안 연구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도내 빈집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보고회는 도내 각 시군에서 증가하는 빈집 실태를 진단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연구용역은 한국건설발전연구원 임주현 대표가 책임을 맡고 있으며, 이날 회의에서는 그간의 조사결과와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임 대표는 보고를 통해 ▷현행 제도 및 정책의 문제점 ▷빈집 관련 제도 정비와 관리체계 구축 방안 ▷국내외 빈집 활용 사례 분석 ▷지속가능한 지역 맞춤형 활용모델 개발 방향 등을 제시했다. 그는 "경북의 농촌·도시 지역은 각각의 인구 구조와 생활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인 대책보다는 지역 실정에 맞춘 '경북형 빈집 활용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회 대표 백순창 도의원(구미)은 "경상북도는 최근 급속한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빈집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빈집은 단순히 사용되지 않는 건물이 아니라, 지역의 안전망을 약화시키고 환경과 도시경관, 방범 등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지역 여건에 맞는 실효성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며 "이번 연구가 경북형 빈집 활용정책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상북도 빈집 활용 연구회'는 백순창 대표의원을 비롯해 김일수·김창혁·노성환·최병근·허복 도의원 등 총 6명으로 구성돼 있다. 연구회는 오는 11월까지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도출된 정책대안과 연구결과를 경북도의 정책제안 및 의정활동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