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취재현장-남정운] 거울 전시를 끝낼 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사회부 남정운 기자

사회부 남정운 기자
사회부 남정운 기자

대구 중구청과 산하 봉산문화회관은 그림 대신 거울을 걸어 홍역을 치렀다. 흔한 얘기로 '과거는 오늘을 비추는 거울'이라고 하니 말이다.

지난달 24일 봉산문화회관에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하하는 그림이 걸렸을 때, 앞서 논란이 됐던 회관의 과거를 떠올린 사람이 적잖을 테다.

'중구 봉산문화회관 운영 조례' 제5조에 따르면 공공문화시설인 회관에서 정치적·종교적 의미가 담긴 행사를 열어선 안된다. 회관 측은 이 규정을 알고도 꾸준히 어겨왔다.

회관은 지난해 6월 이태원 참사·채상병 사건 등을 매개로 당시 정권을 비판하는 작품을 전시했다. 지난달 13일에는 절이 주최하는 불교 행사를 개최했다. 이를 미리 안 중구의회가 회관에 '행사 취소' 약속을 받아냈지만, 며칠 뒤 행사는 강행됐다.

회관의 조례 위반 수준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번에는 피살당한 아베 전 일본 총리를 반라(半裸)상태로 묘사한 작품을 전시하려다, 계획을 바꿔 나체의 윤 전 대통령을 해부하는 그림을 걸었다. 머리가 둘로 쪼개지고, 내장이 훤히 보이는 모습이 기괴해 신문에 실을 수도 없었다.

이는 불교 행사가 열린 지 불과 열흘 만에 벌어진 일이다. 회관과 중구청이 불교 행사의 조례 위반 지적을 엄히 여겼다면 더 큰 뒷일은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그림이 아닌 거울이라는 것이다. 봉산문화회관의 판단력과 회관 관리 책임이 있는 도심재생문화재단·중구청의 재발 방지 역량은 저 그림 속 모습같다. 처참하기 그지없다.

어떤 정치적 성향의 인사를 풍자·비하했냐의 문제가 아니다. 수년 전부터 국회 의원회관을 비롯한 각 공공시설에 전현직 대통령을 소재로 삼은 작품이 걸려 적절성 시비가 붙는 일은 손에 다 꼽을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물론 표현의 자유는 폭넓게 보장돼야 하지만, 공공문화시설에 한해선 공공복리와 사회 갈등 방지 등을 이유로 각종 제한이 가해질 수 있다는 의견 역시 합리적이다. 정치적 함의를 담은 도발적인 작품이 걸릴 사설 갤러리는 세상에 널렸다.

전시회 시작 전 문제의 작품들을 배제한 건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중구청이 이번 사건을 돌아보고, 재발 방지 노력을 기울일지에 대해선 확신이 들지 않는다.

중구청은 사건 당일 재단과 회관에 대한 대대적인 감사를 진행 중이었음에도, 감사 대상에선 이번 사건을 쏙 빼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같은 규정을 어긴 불교 행사는 살펴보겠다고 한다. 상식에서 벗어난 태도다.

요즘 회관과 재단의 문제점은 책임 질 사람이 점점 줄어간다는 것이다. 회관장은 이미 임기가 만료돼 공석이고, 재단 상임이사도 다음달 중순 퇴직 예정이다. 하다못해 그간 논란이 된 모든 행사를 담당한 실무자도 육아휴직을 떠났다. 중구청이 "책임 추궁할 사람이 남아있지 않다"는 핑계를 댈 시기까지 버틸 작정인 게 아니길 바란다.

중구청이 끝내 이번 전시회의 기획 과정을 반성하지 않는다면, 중구청은 이미 다음 거울의 예고편을 찍고 있는 셈이다. 훗날 중구청은 더 골치 아픈 작품이 걸려도 막을 수 없을지 모른다. 사실 선례를 아는 입장에선, '안 봐도 비디오'다.

지난달 24일 봉산문화회관에는 공공문화시설에 걸릴 자격이 충분한, 품격 있는 작품도 많았다. 주민들이 이를 알고 '안 본 눈' 살 걱정 없이 전시회를 찾는다면 중구청에게도 상당한 보람이 될 테다. 회관과 중구청의 '거울 전시'가 이번이야말로 마지막이길 기대하는 이유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