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 '슈퍼 위크'를 앞두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민의힘에 "무정쟁 주간"을 제안했다.
27일 정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역사적인 2025 경주 APEC 성공을 위해 모든 국가적 역량을 집중할 때"라며 "외교의 최종 목표는 국익 추구"라고 말했다.
이어 "국익에 여야가 따로 없다. 전 세계가 한국을 주목하고 있어 전 세계인 앞에서 우리끼리 싸우지 말자"며 "이번주만이라도 무정쟁 주간을 선언하고, 오직 대한민국 성공을 위해 같이 노력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 대표는 "국익을 위해서는 악마와도 손잡아야 한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말을 인용해 "야당도 국익을 위해 양보하고 조심하는 미덕을 발휘해줄 것을 간곡히 요청한다"고 당부했다.
또 정 대표는 국회가 '무정쟁 선언'을 한 역대 사례를 읊으며 "2002년 월드컵 땐 야당이었던 한나라당 서청원 대표가 무정쟁을 합의했고, 1998년 IMF(외환 위기) 때도 국회의장 주도로 무정쟁을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도 "정부가 추진 중인 한·미 안보 협력과 관세 협상은 모두 국민의 삶과 직결된 일"이라며 "특히 우라늄 농축과 핵연료 재처리 권한 확대는 우리 기술력에 걸맞는 자주적 에너지 안보로 가는 중요한 걸음"이라고 말했다.
최고위 후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대변인 논평에서도 '국민의힘'이라는 당명이 사라지도록 하겠다"며 "그동안 숱하게 싸워온 시간을 돌아보는 성찰의 수행을 해보자"고 했다.
실제로 박 대변인은 '재판중지법 개정을 당에서 검토하고 있냐'는 질문에 "당이 공식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차원은 아니지만, 불을 때니 물이 끓는 것"이라며 "국민의힘에서 불을 때니 물이 끓는다고 답해야 하는데 국민의힘 당명이 사라지도록 하겠다는 약속에 발이 묶여서 선문답식으로 답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달 23일 이재명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했을 당시 민주당은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등 '조희대 때리기'에 집중했다. 이 때문에 당시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을 당이 모두 묻어버렸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李대통령 "박정희 산업화 큰 업적…비판 있지만 공적 누구나 인정" [영상]
취임 후 처음 대구 찾은 이재명 대통령, 핵심현안사업 지원 의지 강조(종합)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