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정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종 선정서 '보류' 결정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청정 암모니아 기반 무탄소 분산전원 실증 계획 불발

영일만 산업단지 인근 상공에서 바라본 영일만 앞바다 모습. 매일신문 DB
영일만 산업단지 인근 상공에서 바라본 영일만 앞바다 모습. 매일신문 DB

수도권 집중형 전력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국내 첫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하 분산특구) 선정에서 경북 포항이 최종 명단에 오르지 못했다. 정부가 포항을 포함한 일부 지역에 '보류' 결정을 내리면서 포항시가 추진하던 무탄소 분산에너지 산업벨트 구상은 당분간 제동이 걸렸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김성환 장관 주재로 제36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 및 에너지 이용 합리화 기본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회의에서 ▷부산 강서구 ▷경기 의왕시 ▷전남(전역) ▷제주(전역) 등 4곳이 분산특구로 최종 선정됐다. 반면 포항, 울산 미포산단, 충남 서산은 '보류' 판정을 받았다.

이번 결정은 지난 5월 산업통상부(옛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정한 7개 후보지 중 4곳만을 최종 확정한 결과다. 정부 조직 개편으로 산업부의 에너지 기능이 기후부로 이관된 지 5개월 만에 첫 분산특구 지정이 이뤄졌다.

분산특구 제도는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근거로 마련됐다. 이는 중앙 집중형 전력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 내에서 생산·소비가 이뤄지는 '지산지소형' 전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분산특구 내에서는 발전사업자가 한국전력(한전)을 거치지 않고 지역 기업이나 가정에 직접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정부가 규정한 분산에너지 발전원은 설비용량 40㎿ 이하의 중소형 발전설비와 500㎿ 이하의 집단에너지 발전설비로,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대표적이다.

포항시는 이번 공모에서 세계 최초로 '청정 암모니아 기반 무탄소 분산에너지 실증 및 상용화'를 핵심 모델로 제시했다. 영일만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청정 암모니아 기반 수소엔진발전을 실증하고, 이를 통해 2차전지 기업에 40㎿급 무탄소 전력을 공급하는 구상이었다.

내년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을 앞두고 무탄소 전력 사용을 통해 지역 수출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최종 선정에는 실패했다.

이에 따라 포항의 청정에너지 산업 육성 전략은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