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거비 부담 지표가 전반적으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 여건은 뚜렷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16일 발표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전국 6만1천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과 월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청년·신혼가구의 주거수준 지표는 후퇴하며 주거격차가 다시 벌어지는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 전국 자가가구 PIR은 6.3배로 전년과 같았다. 수도권은 8.7배로 높아졌고 도지역은 4.0배로 소폭 상승했다. 임차가구 RIR 역시 전국 15.8%로 전년과 같았으며 수도권은 18.4%로 가장 높았다. 다만 청년가구의 임차가구 RIR은 16.0%로 전년 대비 1.4%p 낮아져 단순 부담률 지표만 보면 일부 개선 흐름을 보였다.
지역별로 보면 작년 서울 자가가구의 PIR은 중간값 기준으로 13.9배로 나타났다. PIR은 월급을 고스란히 모았을 때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서울 다음으로 PIR이 높은 지역은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실제 주거수준 격차는 확대됐다. 청년가구의 최저주거기준 미달 비율은 8.2%로 전년보다 2.1%포인트(p) 증가했다. 1인당 주거면적도 31.1㎡로 일반가구(36.0㎡)보다 좁았다. 특히 고시원 등 주택 이외 거처 거주 비율이 5.3%에 달해 청년층의 열악한 주거환경이 계속된 것으로 조사됐다. 신혼부부도 최저주거기준 미달 비율이 2.5%로 상승했고 1인당 주거면적은 27.4㎡로 감소했다.
반면 고령가구는 주거안정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고령가구의 임차가구 RIR은 25.4%로 3.7%p 하락해 부담률이 뚜렷하게 줄었고, 최저주거기준 미달 비율도 2.1%로 내려갔다. 1인당 주거면적은 46.6㎡로 전년보다 넓어졌다. 고령층이 비교적 안정된 주거 형태에 머물면서 거주기간이 길고 점유형태가 자가 중심이라는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조사 결과는 청년·신혼의 주거비 부담 지표가 단순 수치에서는 유지되거나 완만하게 개선됐지만, 실제 거주환경은 더 열악해졌다는 점을 보여준다. 소득 대비 가격 또는 임대료 부담률은 정체돼 있지만 주거면적, 적정성, 거처 수준은 오히려 악화돼 체감 주거질 하락으로 이어지는 흐름이다. 반대로 고령층은 구조적 안정성과 장기 거주 특성이 유지되며 부담률과 주거수준이 동반 개선됐다.
정책수요 또한 변화했다. 청년은 전세자금 대출(40.6%), 월세보조(19.5%) 요구가 높아졌고 신혼부부도 전세·월세 중심의 수요가 확대됐다. 자가 마련보다 임차부담 완화가 더 절실해진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성가구 전반에서 주택구입자금 지원 필요성은 감소하고, 임차지원과 공공임대 수요는 높아지는 구조적 전환이 확인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은 재림예수인 듯' 출판기념회 "정치-종교, 인간-신의 경계 넘나드는 시도"
날벼락 맞은 특검…황교안·박성재 구속영장 기각
민주당 '검사징계법 폐지안' 발의…검사도 '파면' 길 열리나
한미 관세·안보 협상 팩트시트 최종 합의..李대통령 직접 발표
떠나는 길 꽃달고 활짝 웃은 노만석…'항소 포기' 설명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