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대장동 일당에 대한 항소 포기와 공무원 휴대전화 사찰TF 등으로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내려가고 있으나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율도 덩달아 내려가거나 답보상태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이재명 정권은 대장동 항소만 포기한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과 국민을 포기한 '총체적 포기 정권'이라며 내년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부산, 울산을 시작으로 12월 2일까지 전국 11곳에서 장외 집회를 강행하고 있다. 그러나 강력한 대여 공세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여전히 20%대에 머물고 있다. 특히 보수의 성지라는 TK지역에 대한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국민의힘 지지율이 57%에서 46%로 급락하였다.
국민의힘 당내에서는 공세에 앞서 혁신이 먼저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고, 당명 변경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당내 일부에서는 비상계엄 1주년이자 장 대표 취임 100일이기도 한 12월 3일에 국민들에게 공개적으로 반성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윤 어게인이 아니라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분명한 절연이 있어야 내년 지방선거에서 승산이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집토끼를 지킨다면서 강성 우파의 결집에만 몰두하고 있는 장 대표가 앞으로 어떤 태도를 취할지 지켜볼 일이다.
국민의힘이 직면한 가장 커다란 현실은 흩어지는 지지층과 줄어드는 중도층·수도권·청년층의 신뢰다. 선거는 외연 확장의 경쟁인데, 최근 당내 메시지는 오히려 축소·분열·단절의 이미지가 짙어지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유승민 전 의원에게 덮어씌운 '배신자 프레임'이라는 어두운 그림자는 한동훈 전 대표에게까지 덮어 씌워졌다. '배신자 프레임'이라는 내홍의 언어는 당 지지층 내부의 결속 효과는 있을지 모르나, 정작 선거의 승부처가 될 부동층과 중도유권자, 수도권 주민들에게는 나쁜 이미지로 작용하고 있다. 개혁에 반대하는 수구 기득권 세력이 유승민, 이준석, 한동훈 같은 보수의 자산을 찍어내는 뺄셈의 정치를 함으로써 국민의힘은 지난 총선에서 패배했고 대선에서도 패배하여 정권을 더불어민주당에 바쳤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이 국민 앞에 경쟁력을 가진 정당이라는 확신을 주려면, 내부 적전분열과 책임전가가 아니라 개혁, 포용, 대동단결의 정치적 전환이 절실하다. 국민의힘은 민심에 역행하여 윤심과 당심만 쳐다보다가 중도층, 수도권에서 패배하여 입법권과 대통령의 통치권을 송두리째 민주당에 넘겨주었다. 검찰청 폐지, 법원행정처 폐지 등으로 검찰과 사법부마저 난도질당하고 있는 판에 내년 지방선거마저 패배한다면 마지막 남은 지방권력마저 민주당에 넘어가게 된다. 이것은 역사와 국민에 큰 죄를 짓는 일이다. 국민의힘과 지도부는 민심을 제대로 읽고 최소한 지방권력만이라도 지켜야 한다는 엄혹한 역사적 사명을 무겁게 인식해야 한다.
정치는 누구를 배제하느냐가 아니라 누구를 함께 끌어안느냐의 싸움이다.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에 승리하기 위해서는 공산당의 통일전선전술이라도 배워야 할 것이다. 통일전선전술은 이쪽의 힘이 미약할 때 '견해가 다른 세력이라도 목표 달성을 위해 최대한 함께 묶어 세력을 확장하는 전략'이다. 삼권을 움켜쥔 민주당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강성지지층의 요구에 따라 '1인 1표제'를 추진하고 있다고 하여 민주당에 대항할 힘도 수단도 없는 국민의 힘이 민심에 역행하여 지방선거 경선시 당심 반영비율을 기존 50%에서 70%로 상향하기로 한 것은 이기기 위한 선거전략이라 할 수 없다.
지금 국민의힘에는 구동존이(求同存異) 즉, "다름을 인정하면서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는 정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보수 정치의 시대적 과제는 '기득권 수호'가 아니라 '기득권 혁파'라는 점을 국민에게 설득하고 증명해야 한다. 내년 지방선거 승리의 길은 뺄셈이 아니라 '덧셈의 정치' 뿐이다. 대선·지선·총선을 막론하고 보수가 이긴 선거는 모두 외연 확장, 중도 포용, 내부 통합의 시기였다. 반대로 내부 공격, 영남으로 진영 고립, 적대적 언어가 강화되었을 때 패배했다.
지금 국민의힘에 필요한 것은 민심을 보고 상대에게 배우고 내부를 포용하고 필요한 것을 과감히 고치는 일이다. 유승민, 한동훈 등과 손을 잡고 개혁신당의 이준석과도 연대해 나갈 때 확장의 보수, 함께 가는 보수가 될 것이다. 내년 지방선거의 승패는 바로 이 전환에 달려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경주 지진 이력에 발목?…핵융합 연구시설 전남 나주로
李대통령 "무인기·대북방송 바보짓…北 쫓아가서라도 말붙여야"
이 대통령, 남아공 동포들에 "또 계엄할까 걱정 않도록 최선"
대구 찾은 김경수 "내년 지선, 정부 국정 동력 확보에 중요한 선거"
김민석 총리 "아동수당 지급, 만13세까지 점진적 확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