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문화예술허브 조성 사업 4년 표류, 이젠 끝내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옛 경북도청 부지(敷地)에 조성할 국가문화예술허브 사업이 4년 가까이 진척(進陟)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22년 윤석열 정부의 국정 과제로 선정되면서 지역 문화예술계의 기대를 모았으나, 사업 부지 변경과 정권 교체 등을 거치면서 지지부진한 상태다.

국가문화예술허브는 대구시 산격청사로 사용 중인 옛 경북도청 터에 사업비 3천228억원(전액 국비)을 들여 ▷뮤지컬 전용극장·창작지원센터 등이 들어설 국립창작뮤지컬 콤플렉스 ▷전시관, 수장고(收藏庫) 등을 갖춘 국립근대미술관 건립을 핵심으로 하는 근대시각예술 콤플렉스 등을 조성해 차세대 한류(韓流) 콘텐츠 창작 기지로 키우는 대규모 문화예술인프라 구축 사업이다. 이 사업은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 인프라를 지방에 분산시켜 국가균형발전을 꾀하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이 사업은 국정 과제로 선정된 이후 3년 6개월이 지났지만, 사업 부지 선정 혼선 등으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2023년 4월 사업 부지를 달성군 대구교도소 후적지(後適地)로 변경하는 안을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안하면서 논란을 초래했다. 문체부는 지난해 대구시 제안을 거부하면서 사업 부지를 당초 계획(옛 경북도청 터)대로 확정했다. 여건이 좋을 때 사업 진행에 속도를 냈어야 했는데, 허송세월을 한 것이다.

문제는 사업 예산을 쥐고 있는 기획재정부의 의지(意志)다. 문체부는 지역 문화의 균형발전 측면에서 문화예술허브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약속을 했으나, 기재부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 사업에 선정될지 여부가 불투명하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21일 기재부의 예타 담당자가 처음으로 현장을 방문했다는 점은 다행이다.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은 문화예술허브 사업이 기재부의 내년 예타 대상에 선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쏟아야 한다. 특히 대구시와 11년 만에 당정(黨政) 예산정책협의회를 두 차례나 개최한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의 역할에 주목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