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계절을 그린 거장과의 만남…대구시향, 올해 마지막 정기 공연 '겨울, 다시 봄'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시향 백진현 지휘, 바이올리니스트 한경진 협연
계절을 노래한 두 거장 비발디 "사계", 차이콥스키 교향곡 제1번 "겨울날의 환상"
12월 12일(금) 오후 7시 30분,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

대구시향 제521회 정기연주회 포스터.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시향 제521회 정기연주회 포스터.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시향 제520회 정기연주회 공연모습. 대구시립교향악단
대구시향 제520회 정기연주회 공연모습. 대구시립교향악단

대구시립교향악단은 오는 12월 12일(금) 오후 7시 30분,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올해 마지막 정기 공연인 '제521회 정기연주회 : 겨울, 다시 봄'을 개최한다.

한 해의 끝에서 바로크 음악의 정수, 비발디의 '사계' 전곡과 낭만의 거장 차이콥스키의 교향곡 제1번 '겨울날의 환상'을 들려준다. 이날 공연 지휘는 백진현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가 맡고, 협연은 바이올리니스트 한경진이 함께한다.

1부는 안토니오 비발디의 대표작 '사계'로 문을 연다. 1725년 발표된 이 작품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으며, 각 곡에는 계절과 자연의 느낌을 담은 짧은 시(소네트)가 함께 실려 있다. 독주 바이올린과 현악 오케스트라 위주의 편성으로 자연과 인간의 감정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먼저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봄'은 새들의 지저귐과 시냇물의 흐름, 목동의 평화로운 꿈이 밝고 경쾌한 리듬으로 펼쳐진다. 제2번 '여름'은 작열하는 더위와 폭풍우의 격정을 강렬한 음형으로 묘사하며, 바이올린의 음을 아주 빠르게 반복해서 떨리는 듯한 음과 불협화음이 만든 긴장감이 특히 인상적이다.

제3번 '가을'은 풍요와 축제를 노래한다. 농부들의 수확과 환희, 그리고 그 끝에 찾아온 고요한 정적까지 정교하게 이어진다. 제4번 '겨울'은 혹한의 냉기와 벽난로의 온기를 함께 나타내며, 날카로운 현의 스타카토와 떨리는 리듬으로 차가운 공기의 감각을 섬세하게 전한다.

바이올리니스트 한경진은 예원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 입학 및 예술사를 졸업한 후 독일 베를린 국립음대 석사 졸업과 라이프치히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을 최우수로 졸업했다. KBS교향악단, 서울시향, 코리안심포니, 부산시향 등과 협연했고, 수원시향 악장을 역임했다. 현재 경북대학교 교수이자 KCO 악장, DCH 비르투오소 챔버 리더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바이올린 한경진.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바이올린 한경진. 대구문화예술진흥원

2부에서는 차이콥스키의 교향곡 제1번 '겨울날의 환상'이 연주된다. 이 작품은 러시아의 민속 선율과 낭만적 정서를 섬세하게 결합한 곡으로, 스승 루빈시테인의 혹독한 비평에도 불구하고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지금의 버전으로 완성됐다.

총 4악장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의 1악장 '겨울 여행의 꿈들'은 눈 덮인 풍경 위를 걷는 듯한 몽환적인 선율로 시작해 점차 넓은 공간감을 그려낸다. 목관의 따뜻한 음색과 현악의 잔잔한 반주는 차이콥스키 특유의 정서적 투명함을 보여준다. 2악장 '황량한 땅, 안개 낀 대지'는 서정적이면서도 내면적 슬픔이 깃든 악장으로, 관악기와 현악의 대화가 섬세한 감정선을 그린다.

3악장은 경쾌한 스케르초로 러시아 민속무용의 리듬이 녹아 있으며, 마지막 4악장은 어두운 서주에서 시작해 장대한 종결부로 치닫는다. 이 결말에는 겨울을 지나 다시 찾아올 봄의 기운이 상징적으로 담겨 있다. R석 3만 원, S석 1만 6천 원, H석 1만 원.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문의 053-430-7765.

대구시향 백진현 지휘자 ⓒKIMHYUKSANG.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시향 백진현 지휘자 ⓒKIMHYUKSANG. 대구문화예술진흥원

0700
AI 뉴스브리핑
정치 경제 사회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 대한 징역 15년 구형에 대해 홍준표 전 대구시장을 비판하며, 과거 대선 경선에서 한덕수와의 단...
대구시는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현대화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발표하며, 2032년까지 이전 완료를 목표로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경북대가 최대 1천억원 규모의 국가연구소 사업에서 최종 탈락한 가운데, 최종 선정된 4개 대학 중 3곳이 서울 상위권으로 지역 대학에 대한 배제...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