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회 박선하 도의원(국민의힘·기획경제위원회)은 26일 열린 경북도 기획조정실 2026년도 예산안 심의에서 김천혁신도시 상가 공실 문제를 집중 지적하며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이 지역 회복의 실질적 대안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도의원은 "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경북 상가 공실률이 19%로 전국 평균(13.4%)을 크게 웃돌며 전국 3위 수준"이라며 "구미 26%, 포항 24.2%, 안동 16% 등 주요 도시도 높지만, 김천혁신도시는 42.13%로 도내 최악"이라고 진단했다.
박 도의원은 김천혁신도시의 공실 문제에 대해 "경기 침체뿐 아니라 인구유출, 비대면 소비 확산, 초기 상업용지 과다 배치 등이 복합 작용한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새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과 연계한 도시 회복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내년도 신규 반영된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에 대해 "국비·도비·시군비가 함께 투입되는 매칭사업임에도 국고보조금 교부가 9월에서 11월로 지연돼 사업 준비에 차질이 있었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박 도의원은 "스마트도시는 단순히 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이 아니라, 도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지능형 운영체계를 구축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며 보완 대책을 제시했다.
그는 ▷김천 시민·지역전문가 참여 확대를 위한 실질적 거버넌스 운영 ▷스마트도시 데이터 활용성 제고를 위한 체계 구축 ▷지방비 매칭 이상의 행정·기술 지원체계 강화 ▷사업 추진 과정의 위험요인 사전 파악 및 대응계획 마련 등이다.
박 도의원은 "도비 비중은 15%에 불과하지만 스마트도시는 미래 지역경쟁력을 좌우하는 장기 전략사업"이라며 "재정 분담을 넘어선 행정적·기술적 지원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혁신도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주민·전문가의 의견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투명한 운영 구조가 필수"라며 "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새로운 지역발전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주 지진 이력에 발목?…핵융합 연구시설 전남 나주로
李대통령 "무인기·대북방송 바보짓…北 쫓아가서라도 말붙여야"
김민석 총리 "아동수당 지급, 만13세까지 점진적 확대해야"
대구 찾은 김경수 "내년 지선, 정부 국정 동력 확보에 중요한 선거"
이 대통령, 남아공 동포들에 "또 계엄할까 걱정 않도록 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