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한달째인 경륜이 토.일요일과는 달리 금요일만 되면 세칭 {꾼}들이 대거 몰려 {그린스포츠}로서의 당초의 취지를 퇴색시키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있다.14일 경륜사업본부와 팬들에 따르면 경륜은 지난달 15일 출범이후 13일까지11일차 경륜이 시행되면서 토.일요일에는 당초 목적했던 건전한 팬들이 모이고 있으나 금요일에는 경마가 쉬는 틈을 타 꾼들이 활개를 치고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현상은 관중수및 매출액 통계에서 간단하게 감지된다.경륜출범 이후 지난 13일까지의 총매출액은 10억5천810만원, 총입장객수는3만4천327명이다.
이가운데 금요일의 매출액과 관중수는 각각 7억7천160만원과 1만6천613명으로 총매출액의 70%, 입장객수의 절반정도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특히 지금까지 3차례 실시된 금요경륜의 평균 입장객수와 매출액은 각 5천537명과 2억5천720만원으로 토.일요일에 실시된 8차례 경륜의 평균 입장객수와매출액 2천214명과 3천581만원에 비해 입장객수는 2.5배, 매출액은 7.2배가많았다.
이처럼 금요일만 {장사}가 되는 이유는 경마장의 {꾼}들이 경마가 없는 이날을 택해 {한탕}하거나 {자금회전}을 위해 경륜장으로 집결하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금요일의 경륜장에서는 {꾼}들이 1인당 베팅한도액이 1만원으로 돼있는 현행 규정을 피하기위해 심부름꾼이나 정보원을 시켜 수십장의 투표권을분산 매입하는 경우를 자주 목격할 수 있다.
이에대해 당초 경륜출범에 반대했던 시민단체나 지역 주민들은 [건전한 여가선용기회 제공이라는 거창한 취지로 출발한 경륜이 초기단계에서 이미 도박장화하고 있다]며 경륜의 미래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
경륜사업단도 이같은 현상이 껄끄럽기는 마찬가지.
금요일만 되면 팬들이 몰려들고 매출액이 껑충뛰어 신이 나면서도 이러한{호황}이 꾼들에 의해 계속 주도될 경우 명분인 {그린스포츠정착}에 상처를 입고 여론의 질타가 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륜사업단은 꾼들이 아닌 건전한 레포츠인들을 끌어들이면서 토.일요일의 입장객수와 매출액을 늘린다는 {2마리 토끼사냥}의 묘안마련에 고심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뾰족한 수가 없는 실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