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저축 왕국'이던 한국이 '소비 왕국'으로 전락하고 있는가. 국민의 저축률이 지난 86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사실은 매우 충격적이다.저축률은 지난 90년 37.5%에서 95년 35.5%, 지난해는 32.3%로 서서히 떨어졌으나 최근에는 급전 직하, 10년 사이에 10%포인트 하락했다.
한국은행은 12일 "3/4분기 총저축률이 전년 동기 대비 3.5% 하락한 27.8%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물론 저축률 하락이 경제에 나쁜영향만 미치는 것은 아니다. 지난 60, 70년대 개발 연대(年代)에는 저축이 미덕이었지만 산업사회가 성숙하면서 소비 증대가 경기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웃 일본처럼 지나치게 높은 저축률이 오히려 소비를 위축시켜 경기 침체의 근본 요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그러나 저축률이 너무 급격히 떨어져 총투자율에 못 미치면 심각한 부작용을 낳는다. 따라서 국내 총투자율 26.3%에 겨우 턱걸이 한 현재의 저축률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앞으로 경기 활성화를 위해 기업의 설비투자 증대가 불가피한 마당에 국내 자본으로 이를 충당할 수 없다면 외국 자본을 끌어들일수밖에 없어 심각한 대외불균형을 낳기 때문이다.
저축률 하락 요인은 무절제한 소비패턴에서부터 찾아야 한다. 3/4분기 중 명목상 국민소득은 2.6% 늘었는데 소비지출이 7.9%나 늘었다는사실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최근 경제적 능력이 없는 젊은층과 청소년의 과소비도 이를 부채질하고 있다. 신용카드를 마구잡이로 발급, 현금서비스와 충동 구매를 부추기는 '소비 문화' 조성도 저축률 하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IMF이후 실직 등으로 늘어난 저소득층의 증대도 중대 요인이다. 신용카드 할인대출로 가계를 꾸려나갈 빈민층에 저축을 장려할 수는 없는 입장이다. 특히 '빈익빈 부익부'는 중산층 저축의 발목을 잡고있다. 우리는 지금 불황의 밑바닥을 지나고 있다. 따라서 미래 투자를 가로막는 저축률 하락은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 저축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대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