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산 음식물쓰레기 민간위탁 단가계약 방식적용 말썽

경산시가 지난해 음식물 쓰레기처리를 민간위탁하면서 처리업체에 유리한 계약방식을 적용했다며 시민단체가 당국의 조사를 촉구하고나서는 등 물의를 빚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인 경산시민 모임은 경쟁입찰인 아닌 현재의 단가계약 방식은 업체에 유리한 것이며 처리비용이 많이 들고 처리비용을 많이 받기 위한 물량부풀리기 가능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며 시와 경찰에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시는 지난해 7월 시내 6개동에 시행하던 음식물 쓰레기처리 민간위탁을 지난달부터 14개 읍면동 전역으로 확대 실시하며 위탁업체에 대한 처리비용 지급은 매일 수거량을 환산해 지출하는 일종의 단가 계약식을 적용했다.

단가는 경산환경과 고일산업 및 성암환경 등 수거운반업체 3개소가 t당 6만6천여원에서 최고 8만5천여원으로 수거지역에 따라 차등 적용했고 처리업체인 그린경산은 t당 6만670원으로 결정했다.

업체들은 수거한 쓰레기를 시가 지정한 계량소에서 무게를 잰 뒤 확인증을 붙여 시로부터 매달 처리비용을 받으며 시전체의 연간 처리물량은 1만5천여t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무게를 재는 과정에 감시자 없이 자율적으로 무게를 재는 것으로 알려져 의혹을 사고 있다.

경산시 관계자는 "사실 감시가 문제지만 계근과정은 업체양심에 맡겨 두었고 월 또는 연간 처리비용을 계약하는 총액입찰을 않고 단가방식으로 한 것은 인구증가와 계절별 쓰레기 발생량 차이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이와 달리 지난달부터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민간 위탁한 칠곡군 등 상당수 시·군은 월별 쓰레기 발생량과 처리비용 조사 등을 용역 의뢰, 평균치를 산출해 총액식 계약을 한것으로 나타났다.

경산시민모임 관계자는 "위탁업체 일부 관계자들의 양심선언 등으로 계근 과정에서 이중계근과 수거차량의 침출수 등을 제대로 빼지 않은 반복계근 등 쓰레기량 부풀리기 행위가 있다는 간접증언과 개연성이 제기됐다"며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경산·이창희기자 lch888@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