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정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 탄핵사태로 정치권에 '불확실성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각 당은 탄핵안의 후폭풍이 어디로 어떻게 불지를 놓고 바짝 긴장하고 있다.
탄핵을 이끌어낸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승리의 도취감을 즐길 새도 없이 곧바로 여론의 향배에 신경을 집중하고 있고 탄핵사태로 오히려 지지율이 올라간 열린우리당도 이같은 여론의 지지가 일과성에 그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12일 탄핵안이 가결된 직후 만세까지 불렀던 2야의 표정은 13일 아침 확연히 달라졌다.
양당 지도부의 표정은 긴장감으로 굳어있었다.
탄핵안 가결직후 실시된 각 언론사의 여론조사에서 드러났듯이 여론의 역풍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날 오후 한나라.민주당, 자민련이 대표회담을 갖고 정국안정대책 마련에 나선 것도 여론의 역풍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 대표는 13일 상임운영위원회에서 "국민들이 충격을 받은 것은 이해되지만 과장됐고 흥분된 부분만 부각된 측면이 없지 않다"며 "국민들이 왜 탄핵이 됐는지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신문광고나 TV토론회 등을 통해 탄핵의 불가피성을 잘 알려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홍사덕(洪思德) 총무도 "단비를 홍수라고 하며 놀라는 사람이 많은데 시간이 지나면 단비로 깨닫게 될 것"이라며 탄핵의 불가피성을 역설했다.
그는 "지난 1년간 대통령은 불을 지르고 야당과 국민은 불을 끄는 역할을 했다.
어제 탄핵안 가결은 앞으로 4년간 그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한 것"이라며 "불안하다고 하는 사람은 집권자에게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도 불안해하기는 마찬가지다.
앞장서 탄핵을 이끌어냈지만 여론이 어디로 튈지 모르기 때문이다.
지지율이 더 내려간 것이 가장 큰 고민이다.
이 때문에 민주당은 국정을 책임지는 정당이라는 이미지 심기에 진력하고 있다.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 여론의 역풍을 차단하는 최선의 방책이라는 판단에서다.
민주당은 12일 탄핵안 가결 직후 의원 일동 명의로 낸 "국민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국정의 안정적 운영 및 민생안정에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
국론분열을 치유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했으며, 조순형(趙舜衡) 대표는 탄핵에는 개헌음모가 있다는 친노파의 공격을 의식한 듯 "경제살리기와 민생안정을 위해 개헌논의는 지금해서는 안된다"며 개헌불가를 선언하기도 했다.
열린우리당은 지지율이 30%를 넘어서자 탄핵이 오히려 정치적 승리를 가져온 것으로 보고 여론의 흐름을 현재대로 고착시키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한 각개전술로 '대통령 탄핵안 가결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헌법재판소에 내는데 이어 항의단식, 시민단체와 사회원로를 중심으로 비상시국대책회의나 탄핵규탄범국민운동본부 구성 등 장외투쟁 방법도 구상 중이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동정적 여론이 지속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안해하고 있다.
여론의 흐름을 계속 잡아놓고 있기에는 총선까지 너무나 많은 시간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탄핵의 충격파가 사그러들고 각종 경제지표가 회복되면서 불안심리가 안정될 우려(?)를 배제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