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과거사 특위' 내우외환 한나라

여당 찬성에 민노·민주 동조 사면초가

한나라당이 과거사 특위 구성 여부를 두고 진땀을 빼고 있다.

친일과 유신 등 과거사 문제를 다룰 국회 특위를 구성하자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제안에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은 물론 내심 믿었던 민주당까지 동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행정수도 이전과 경제위기 논란으로 야 4당 공조가 무르익는 시점임을 감안하면 한나라당으로선 여권의 '과거사 공세'에 휘말려들었다는 반응이다.

일단 당 지도부는 "민생경제가 무너져 내리는데 왠 과거사 캐기냐"며 버티고 있다.

17일 오전 11시 국회에서 '헌법과 대한민국 정체성 수호를 위한 비상대책회의'에서 의원들은 여권의 과거사 특위 제안에 담긴 정략적 의도를 비난하며 반대론에 힘을 실었다.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경제가 파탄 지경인데 정략적 과거사 들추기나 하려는 형태를 용납 못한다"고 성토했고, 김형오(金炯旿) 사무총장도 "대통령이 과거사 캐기 특위로 국민갈등을 부추기고 있다"고 했다.

일련의 논평들도 "대통령이 과거사 캐기에 올인하고 있다" "과거사 특위에 앞서 일자리 창출 특위를 먼저 활성화하자"며 '불가' 입장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국회 의석 과반을 점하고 있는 열린우리당이 특위 구성을 강행할 경우 딱히 저항할 방법이 없다.

여론에 대한 호소나 본회의장 저지 외에 다른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여기다 민노당이나 민주당까지 나서 '민족사 정립을 위한 국민위원회' 구성을 제안하자 한나라당으로선 어이가 없다는 반응이다.

비록 신기남(辛基南) 열린우리당 의장 부친의 친일 행적이 드러나 한숨을 돌리게 됐지만 완전히 불이 꺼진 것도 아니다.

게다가 당내 일부 비주류까지 특위 구성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내우외환에 휩싸인 셈이다.

이재오(李在五) 의원은 "특위를 운영하다가 여당이 정략적으로 이용하면 그때가서 문제를 제기하면 된다"고 했고 고진화(高鎭和) 의원도 "당 차원에서 당당히 나서 여당과 협의, 과거사 문제를 정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