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을 만하면 대형 사건을 하나씩 터뜨려 포항을 떠들썩하게 했던 대구지검 포항지청이 숨고르기를 하는 걸까? 98년 개청 이래 두세 달 건너 한번꼴로 융단폭격을 하던 포항지청이 요즘은 왠지 조용하다.
그러나 포항시청을 비롯한 지역에 산재한 관청과 기업들은 이를 '폭풍전야'로 표현하며 되레 불안해 하는 모습이다.
한 기업인은 "통상 검찰은 여름휴가가 끝나면 몰아치기 수사를 하곤 했다"면서 "추석 지나면 고삐를 당기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포항시청 한 공무원은 "개청 초기에는 검찰에서 손만 대면 사건이 됐지만 이후 융단폭격식 사정 작업을 벌이다보니 이제는 지역사회도 상당히 투명해졌다"며 "종전과 같은 대형사건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포항철강공단의 한 대표이사는 "50만명 이상이 사는 도시에서 검찰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사건을 터뜨릴 수 있다"며 "다만 지금 조용한 것은 검찰도 국민 속의 기관인만큼 어려운 경제사정을 감안해 검찰권을 발동하지 않고 자제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검찰도 일단은 후자에 무게를 둔다.
포항지청 한 관계자는 "지금 시중 경제가 최악이라는데 검찰마저 나서 혼란을 부채질하는 것은 곤란하지 않느냐는 시각이 내부에 적잖다"고 전했다.
실제 포항지청이 신청한 압수수색영장 발부 및 계좌추적이 예년에 비해 상당수 줄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지나친 수사의욕이 빚은 결과가 썩 좋지 않았다는 점도 고려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지난 5년간 포항지청을 거쳐간 지청장과 부장검사 등 간부들이 직원들을 옥죄며 의욕적으로 일했지만, 상당수가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고, 그러다보니 검찰이 다소 의기소침해졌다는 것.
포항지역 한 인사는 "검찰은 조용해도 여전히 일거수일투족이 늘 주목의 대상"이라며 "언제든지 칼을 뽑을 수 있다는 점에서 존재 그 자체가 부담스러운 계층이 많다"고 했다.
포항.최윤채기자 cy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