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능부정 125명 수사착수

대구·경북경찰청 휴대전화 위치추적·수험생 확인 등

대구·경북지역에서도 인터넷 사이트에서 휴대전화로 메시지를 보내는 '웹투폰(Web To Phone)' 방식의 메시지 송·수신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 경찰이 조직적 수능부정행위 여부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대구경찰청과 경북경찰청은 7일 경찰청으로부터 통보받은 수능 휴대전화 부정행위 수사대상자 125명(대구 68명, 경북 57명)의 명단을 해당 경찰서별로 배당, 정밀확인 작업에 착수했다.

대구경찰청은 8일 오전 10시 경찰서별 수사계장 회의를 열고, 번호가 불명확한 10명은 자체 조사하는 한편 달서서 16명, 남부서 14명, 수성서 11명, 달성서 6명, 중부·동부·북부서 각 3명, 서부서 2명씩을 배당해 본격적인 조사를 시작했다.

경북경찰청은 7일 오후 대구 인근 경찰서 수사계장 회의를 열고 명단 및 수사방향 등을 전달했다.

경찰에 따르면 경북의 경우 전체 24개 경찰서 가운데 수사대상자가 있는 경찰서는 구미·포항·경주 등 10곳이다.

또 '웹투폰' 방식의 메시지 송·수신도 발견됐으며 문자메시지의 경우 '문자+숫자' 메시지는 거의 없고 대부분 단순 숫자만 나열된 메시지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웹투폰은 조직적으로 수능부정 행위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는 '청주 입시학원장' 부정사건에서 쓰인 방식으로 지역에서도 조직적인 수능부정 사건이 드러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경찰은 수사결과 부정행위를 하지 않았더라도 시험장에서 휴대전화를 갖고 있었던 사실만 확인돼도 명단을 전원 교육부에 통보할 방침이며 이 경우 상당수 수험생의 '시험 무효' 처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경찰 한 관계자는 "휴대전화 번호만 통보받은 건도 상당수 있어 조사 마무리까지는 최대 2, 3주가 걸릴 전망"이라며 "대상자들이 학생인 점을 감안, 필요할 경우 부모 동의를 받아 자진출두를 요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수용·이상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