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로 예상되는 내각 개편 구도의 윤곽이 잡혔다.
시기는 내년 1월 10일 내외, 규모는 3~5명 정도의 소폭 개각에 그칠 것이라는 게 여권 고위관계자의 설명이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누누이 언급해온 "분위기 쇄신이나 국면전환을 위한 대규모 개각은 없다"라는 철학을 다시 한 번 확인한 셈이다.
이에 따라 참여정부 출범부터 시작한 '장수' 장관과 체력적으로 지친 장관들이 우선적으로 교체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교체 물망에 오르내리는 인사로는 안병영(安秉永)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허성관(許成寬) 행정자치부 장관, 지은희(池銀姬) 여성부 장관 등이 거론된다.
진대제(陳大濟) 정보통신부 장관도 참여정부 출범 때부터 일해온 각료에 속하나 노 대통령의 신뢰가 높아 '롱 런' 가능성이 점쳐진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내년에도 '경제·민생 올인' 방침에 따라 시장개혁 및 내수활성화 등 '경제 살리기'에 주력 중인 이헌재(李憲宰) 경제부총리를 유임시킬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맥락에서 현 경제팀은 거의 '재신임'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앞서 김우식(金雨植) 청와대 비서실장은 16일 출입기자들과의 송년 만찬에서 "달리는 말의 기수는 바꾸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말해, 이 부총리의 유임을 기정사실화했다.
이는 일관성 있는 경제정책 추진을 통해 내수 기반과 시장 신뢰를 공고히 다지면서 국정운영의 안정성을 담보하려는 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개각의 최대 관심 포인트였던 이 부총리의 거취가 이처럼 정리됨으로써 이번 개각 구도의 8할 이상은 방향이 잡힌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그동안 교체설이 끊이지 않았던 고영구(高泳耉) 국정원장은 과거사 문제가 가닥을 잡을 때까지 유임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