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대의 경제단체인 니혼게이단렌(日本經團連)이 13일 임금인상 등 근로조건 개선을 용인하는 내용의 내년도 노사협상지침을 발표했다. 게이단렌은 이날 발표한 '경영노동정책위원회 보고'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해치지 않으면서 근로자의 의욕을 높이기 위한 적절한 대처가 바람직하다"고 명시했다.
게이단렌 관계자는 "작년보다는 노동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 기업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일본 경영자단체가 임금인상 용인 방침을 제시하기는 1992년 이래 14년 만이다. 일본 산업계에서는 경영실적이 좋은 철강노조가 6년, 전기노조가 5년 만에 각각 내년 노사협상에서 임금인상을 요구한다는 계획이다.
게이단렌 회장사로 일본 노사협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도요타자동차노조도 내년에는 4년만에 처음으로 기본급 인상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게이단렌이 임금인상을 용인키로 방침을 바꾼 것은 일본 정부가 "경기 조정국면탈피"를 선언한데다 "일본기업이 안고 있던 설비, 고용, 채무과다 현상이 해소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게이단렌은 그러나 일률적인 기본급 인상은 "고비용구조의 원인이 돼 기업의 경쟁력을 해친다"고 지적하고 "안이한 임금인상은 장래에 화근이 된다"고 밝혀 일률적 인상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일본은 거품 붕괴 후 경기침체가 계속되던 1994년 당시 닛케이렌(日經連·현 니혼게이단렌)이 "임금인상은 사실상 곤란하다"는 기본방침을 발표한 후 95년 철강대기업들이 기본급 동결에 합의했다. 2002년에는 일본 최대기업인 도요타자동차 노사가 기본급 동결에 합의, '임금인상 동결' 분위기가 확산됐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관세 폭탄에 노동계 하투까지…'내우외환' 벼랑 끝 한국 경제
김상욱, '소년 이재명 성범죄 가담' 주장 모스탄에 "추방해야"…이진숙 자진사퇴도 요구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