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폭탄을 맞은 서민층과 중산층이 적자로 내몰리고 있다. 통계청이 밝힌 바에 따르면 1/4분기 전국 가구 중 소득 하위 30%인 저소득층의 가계 살림에서 적자를 본 가정이 55.8%다. 10가구 중 대여섯 가구가 적자 가계부를 쓰고 있는 것이다. 소득 중간 40%인 중산층도 마찬가지다. 적자 가구 비율이 26.9%에 이르러 지난해보다 늘었다. 반면 소득 상위 30%인 고소득층의 적자 가구 비율은 14.4%로 줄어들고 있다.
문제는 적자 원인이다. 씀씀이가 늘어나 적자를 보였다면 근검절약하면 될 일이지만 소비 지출 항목은 그대로인데 지출 비용이 늘어 적자를 보인 가구가 많았다. 올해 1분기 하위 20%의 소득은 월평균 3만8천300원 늘어난 데 비해 식료품비(1만7천300원) 광열수도비(1만7천500원), 교통통신비(1만7천700원) 교육비(2만8천300원) 등 4개 항목의 지출만 8만 원 이상 늘어났다. 광열수도, 교통비 등 꼭 써야 하는 필수 지출 부담이 증가하면서 서민 가계를 옥죄고 있는 것이다.
'경제 살리기'를 내세워 집권한 이명박 정부는 집권 초기 물가를 잡겠다며 52개 품목을 선정하는 등 의욕을 보여 왔다. 하지만 사상 최고의 고유가 행진이 이어지고 원자재가격, 곡물가 등이 천정부지 치솟으면서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그 피해가 고스란히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몫으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해외 요인만 탓할 것이 아니다. 일자리 창출 등 저소득층의 소득을 늘릴 방안을 더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물가 잡기, 소비 지출 절감안 등을 통해 저소득층의 실질적 소득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아무리 노력해도 적자를 면할 수 없는 가구가 갈수록 늘고 있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문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경주에 근무했던 일부 기관장들 경주신라CC에서 부킹·그린피 '특혜 라운딩'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즉시 업무 복귀
"TK신공항, 전북 전주에 밀렸다"…국토위 파행, 여야 대치에 '영호남' 소환
헌재, 감사원장·검사 탄핵 '전원일치' 기각…尹 사건 가늠자 될까
계명대에서도 울려펴진 '탄핵 반대' 목소리…"국가 존립 위기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