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장마속 폭염. 낮뿐만 아니라 밤에도 덥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잠을 제대로 못 자니 하루 종일 피곤하다. 찌는 듯한 여름밤, 편안한 숙면을 도와주는 상품은 없을까?
◆이불·요만 잘 챙겨도
잠을 자면서도 땀을 흘린다.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체온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땀이 이불이나 잠옷으로 흡수되면 순간적으로 습도가 80~90%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높은 온도와 습도를 피하기 위해 몸을 뒤척여 잠을 설치게 된다.
그 때문에 이불이나 요는 땀을 잘 흡수하고 흡수한 땀을 잘 발산하는 소재여야 한다. 모시 삼베 아마 등 마 소재 침구가 제격이다. 레이온을 올록볼록하게 엠보싱 처리한 이른바 '지지미' 제품류도 거친 느낌이 마 소재보다 적어 여름 침구로 제격이다.
여름 침구류는 소재도 중요하지만 색상 선택도 신경써야 한다. 여름 침구류로 단색을 많이 선호하지만 흰색 바탕에 파란 줄무늬가 들어간 스트라이프 디자인은 시원한 느낌을 배가시킬 수 있다.
◆베개도 잘 선택해야
낮고 편안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맨바닥에 누웠을 때 경추와 바닥 사이에 자신의 팔뚝 하나가 들어갈 정도가 적당하다. 보통체격의 남성은 4~5㎝ 높이가 적당하고 여성은 3~4㎝가 좋다.
수요자의 두상 체형 수면습관 등 여러 가지 요소를 분석, 가장 적합한 베개를 제안하는 '매직원더폼' 제품도 최근 인기를 끌고 있다.
요즘엔 마음을 안정시켜준다는 소나무 향을 넣고, 체온을 식혀주는 역할을 하는 메밀이 들어간 베개도 나와 있다. 세라믹 베개, 삼베 베개, 참숯 옥베개, 맥반석 베개, 향나무 베개, 목밑 베개, 오동나무 베개 등도 인기 상품.
◆잠옷도 잘 고르자
여름철 잠옷은 땀을 얼마나 빨리 흡수하고 건조시키느냐가 관건이다. 면보다 흡수·건조력이 좋은 쿨맥스를 이용한 제품이 쾌적함에서 앞선다.
까칠까칠한 촉감 때문에 시원한 모시 소재 속옷도 인기.
모시와 마, 삼베로 만든 옷을 빨 때는 드라이클리닝을 하거나 홈클리어 제품을 사용, 가볍게 손빨래를 해야 한다. 너무 세게 비벼 빨거나 문질러 빨면 옷의 형태가 손상된다. 빨고 나면 자연건조를 한 다음, 창호지에 싸서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대자리
대자리는 빠질 수 없는 여름 최고 인기 상품이다.
대자리는 보통 2~4년생 대나무를 사용하는데 노란색이 강하며 표면에 윤기가 도는 것이 가장 좋다. 최근에는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해 니스칠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땀이 많은 여름철에는 달라붙는 경우가 많아 무늬가 없거나 평범한 문양이 새겨진 제품을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자리는 물걸레로 한번 닦아주기만 하면 될 정도로 별도의 관리가 필요없다. 다만 청소할 때 걸레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닦아내는 것이 좋으며 잘 지워지지 않는 얼룩의 경우는 중성세제를 부드러운 천에 묻혀 천천히 닦아준다.
대백프라자 곽상훈 생활관 담당은 "최근 사계절용 원목자리도 인기"라며 "원목자리는 뒷면을 방수처리한 내자를 사용하고 원단속에 황토, 맥반석, 참숯 성분이 첨가돼 여름철 습기를 방지하고 겨울철 난방시 열 전도도 빨라서 더욱 실용적인 제품"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엔 100% 종이를 원료로 만든 '페이퍼 돗자리'도 백화점에 나와 있다. 페이퍼 돗자리는 왕골이나 대나무돗자리에 비해 가볍고 통기성도 좋다.
◆향기를 풍겨라
숙면을 도와주는 데는 아로마 오일 함유 제품들이 좋다.
아로마향 제품을 잠자기 전에 설치하면 숙면할 수 있다. 전기램프용 제품은 5만원 정도, 초는 4만원 정도면 살 수 있다.
몸에 직접 바르거나 샤워할 때 사용하는 제품을 사용해도 머리가 맑아지고 숙면에 도움을 준다. 마시는 차 제품도 있다.
◆생활수칙
열대야 속에서도 잘 자려면 낮에 깨어 있고 밤에 잠드는 수면 주기를 일정하게 유지해야한다. 밤늦게 잠이 들었더라도 규칙적인 시간에 일어나 활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들기 직전에 격한 운동을 하다 보면 깊은 잠을 방해하므로 운동을 한다면 저녁 식사 전후로 잠들기 4, 5시간 전에 가벼운 산책을 하는 수준이 좋다. 찬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하면 체온이 다시 올라가지 않아 숙면에 도움이 된다.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해서 체온을 올려준 뒤 체온이 다시 내려가는 시점에서 잠자리에 들면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체온이 떨어지는 시점을 고려해 잠들기 1시간 전에는 목욕을 끝내는 것이 좋다.
술이나 카페인이 든 음료 등은 반드시 피하고 수박이나 음료수 등도 깊은 잠을 방해한다. 우유 한잔가량이 잠을 부르는 데 도움이 된다.
잠자기 전에는 공포영화처럼 뇌를 자극할 수 있는 TV프로그램 시청은 삼가야 한다. 잠이 들더라도 깊은 잠을 방해할 수 있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