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부터는 18세 미만의 뇌병변, 언어장애, 자폐아동에 대한 재활치료가 지원되고 그 가족에게는 양육상담, 일시보호 등의 가족지원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 중증 장애인에 대한 장기요양보장제도가 도입돼 방문요양 및 간호·주야간 보호 등 체계적인 요양서비스가 실시된다.
이와 함께 3세 미만 장애 영아도 특수교육 대상으로 선정되면 특수학교나 특수교육지원센터 등에서 무상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정부는 6일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장애인정책 조정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장애인정책발전 5개년 계획(2008~2012년)'을 확정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3세 미만 장애 영아도 특수교육 대상으로 선정해 무상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특수학급이 없는 일반 유치원 및 학교 재학 장애학생도 특수교육을 받을 수 있다.
장애인들을 위한 독서환경 구축을 위해 점자도서, 녹음도서, 수화영상도서 등도 현재 117종에서 1천59종으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또 장애인 일자리 확대를 위해 사업주가 중증 장애인을 고용한 경우 장애인 2명을 고용한 것으로 간주해 부담금을 감면해주고 장애인고용장려금도 지급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2%에서 3%로 상향조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장애인 주택문제 해결을 위해 국민임대주택을 지속적으로 우선 공급하기로 했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李대통령 "박정희 산업화 큰 업적…비판 있지만 공적 누구나 인정" [영상]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취임 후 처음 대구 찾은 이재명 대통령, 핵심현안사업 지원 의지 강조(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