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 섬유산업이 중북부에 있는 섬유 도시의 3개 권역별로 특화돼 육성된다. 경상북도와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은 올해부터 3년간 구미·칠곡, 안동, 영주 등 3개 지역의 업체들을 선정, 특화시킨다. 올해는 총 6억원을 지원해 연구지원 기관 및 단체와 공동으로 섬유 우수화 사업을 벌인다.
국내 최대 삼베 생산지역이며 전통문화의 중심지인 안동은 지역 강점을 널리 알리기 위한 국내외 마케팅에 나선다. 9년 전 안동을 방문했던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과의 인연을 바탕으로 해외 아웃소싱 기지를 찾고 있는 영국 섬유업계와 협력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안동은 영국 황실로부터 작위를 받은 대표적인 디자이너인 폴 스미스의 브랜드와 안동의 전통적 소재 및 문양을 이용해 새로운 차원의 상품을 기획해 영국 및 전세계 폴 스미스 매장에서 판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내년에는 전통 특화 상품의 기획 및 시제품 생산에 나서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도 벌이기로 했다.
안동은 삼베로 만든 여행용 재킷과 바지 등 아웃도어용 의류와 삼베를 이용한 여름용 셔츠, 기능성 소재의 골프 및 비치웨어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홈·침장 분양에서는 삼베 교직물을 이용한 이불 커버 및 관련제품, 기능성 삼베 소재의 목욕 타월과 욕실 매트, 삼베를 이용한 기능성 수세미, 행주, 고급 목욕용품 등의 개발도 고려 중이다. 액세서리 분야에서도 유교 문화의 특성을 살린 상품을 영국의 앞선 디자인과 접목할 계획이다.
구미·칠곡은 코오롱과 도레이 새한 등을 중심으로 전국 원사의 65% 이상을 생산하는 최대 산지라는 점에서 산업용 섬유를 특화키로 했다. 차세대 인테리어 섬유 소재와 공기 청정용 에어필터, PDP용 다기능 메시필터 등의 비의류용 섬유도 육성해 IT융합섬유클러스터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또 영주지역은 하이테크 기술을 응용한 방축성 웰빙 인견 아웃웨어, 인견이불패드 등 4개 분야 고기능성 및 고감성 제품을 개발해 내년부터 출시한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경북도 관계자는 "지역 간 차별화된 섬유산업 개발과 산업 간 융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만기자
모현철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