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목!이 논문] 이주여성 적응에 나이 차·친정송금 여부 큰 영향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한곤

우리나라는 1990년대 들어 국제결혼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행되고 있다. 국제결혼 비율은 2005년 전체 결혼의 13.6%로 정점에 오른 이래 2006년 11.9%, 2007년 11.5%로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높은 국제결혼 비율 못지않게 높은 이혼율이다. 국제결혼 이주여성들 가운데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데 실패해 별거하거나 이혼하는 비율이 2003년 대비 2004년 57.1%, 2006년 46.8%로 해마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실태와 원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일이 시급해졌다.

영남대 사회학과 김한곤 교수가 2009한국농촌사회학회지 1호에 게재한 논문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기에 답을 제시한다.

김 교수는 경산, 문경, 고령, 성주, 봉화 등 5개 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 238명을 면담조사해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도와 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주여성의 적응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부 간의 연령 차이로 밝혀졌다. 즉 부부 간 연령 차이가 많이 날수록 이주여성의 생활적응도는 낮았다. 두 번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친정 가족들에게 송금을 하느냐 여부였다. 이주여성 상당수가 친정의 어려운 경제사정을 호전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국제결혼을 한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 결혼 후 친정에 송금할 수 있는 여성들은 그만큼 결혼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남편의 직업이 농업인 경우가 비농업인 경우보다 적응도가 낮게 나타났다. 문화 및 생활환경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거주할 가능성이 높고, 시부모를 모시는 부담, 어려운 경제 상황 등에 놓여 있을 소지가 높기 때문이다.

이주여성들은 우리말을 읽고 쓰고 말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자녀를 낳아서 키우는 과정에 큰 어려움을 느낀다. 결혼생활에 어느 정도 만족하던 국제결혼 부부라도 자녀를 낳으면서 불화에 빠질 가능성이 그만큼 큰 셈이다.

김 교수는 이 같은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도 제시했다. 먼저 어린 신부를 지나치게 선호하는 현상, 잘못된 성문화를 바로잡아 부부 간 연령 차이를 줄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홍보,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고 했다. 송금 등 경제적 측면의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결혼 전에 서로가 가진 환경과 여건 등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결혼 과정을 제도적으로 개선하고 여성들 스스로 경제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직업교육을 실시하는 일도 중요하게 꼽았다. 자녀 교육을 돕기 위해서는 가정 방문 지도, 자조모임 지원 등을 활성화하고 멘토제 도입이나 자녀 교육 특별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연구 결과 부부 간 학력 차이, 국적 취득 여부 등은 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 다문화사회가 더 진전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기서 비롯되는 문제들을 보다 정확히 진단하고 해결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경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