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에세이 산책] 제프 쿤스

지난주 친구와 리움미술관에 가서 제프 쿤스의 '리본을 묶은 매끄러운 달걀'을 봤다. 옛일이 생각나 감회가 새로웠다. 몇 년 전, 예술이라는 말과 '파리'라는 도시가 동의어가 되어 내 무의식을 지배한 지 삼십 수년 만에 용기를 내 무리하여 파리로 갔던 것이다. 친구들은 불어 한마디도 못하면서 너 어쩔래. 딴죽을 걸었지만 흥, 파리 사람들 내가 다 왕따시킬 거야, 그러고선 떠났다.

사전에 숙지해둔 책자의 내용대로 드골 공항 입국 절차를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끝내고, 지인의 도움으로 리용역 근처 고흐의 노란 방 같은 숙소에 짐을 끌렀다. 그러고도 오후의 해가 말갛게 떠 있어 동네를 한 바퀴 휘휘 둘러보았다. 파리의 거리는 이른 가을바람에 낯설고 차가웠다. 참 쓸쓸했다. 천애(天涯), 절대 고독이란 말이 낙엽처럼 거리에 뒹굴었다.

하지만 그 후 온 파리를 오렌지 카드(파리 지하철 일주일 패스)까지 끊어 일일이 토큰을 끊을 필요 없이 가고 싶은 대로 다 돌아다녔다. 그리고 일주일 후부터 파리에 갔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파리의 한국 사람들을 만나기 시작했다.

그러다 봉마르셰에서 만난 한국인 아트컨설턴트에게서 키치작가 제프 쿤스의 베르샤유 전시에 대해 듣게 되었다. 예술에 관한 한 비교적 관대한 파리 사람들은 관례를 깨고 의외적으로 일부 시민단체들의 전시 반대시위까지 TV와 일간지를 뒤덮는다고 했다.

이 전시는 말하자면 경복궁 근정전 옥좌 앞에 '암퇘지' 식당의 어릿광대 풍선을 놓아둔 격인데, 실제로 베르사유에 가 보니 태양왕 루이 14세의 근엄한 초상화 앞에 제프 쿤스의 멍멍이 풍선 작품 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파리에선 드물게 호오(好惡)가 엇갈린 그 '무엄한' 전시는 근대에 함몰되어 비교적 취약한 파리 컨템포러리 아트(현대예술)의 전환점이 되리라는 예견과 환호, 또 그 사실을 견디지 못한 일부 파리 시민들의 단발 시위로 내가 파리를 떠나올 때까지 이어지고 있었다. 그 제프 쿤스의 천문학적 가격대라는 작품을 몇 년 후 서울에서 다시 보게 된 것이다.

돌이켜 보면 예술사의 새 장을 연 작품들, 생각나는 대로 열거하자면 뒤샹, 피카소, 워홀, 바스키아, 허스트 등의 작품들이 모두 충격적인 시도와 실험, 들끓는 논란에서 탄생되었으니, 예술가의 새로운 실험정신은 평론가의 '새것 콤플렉스'와는 다르게 언제나 옳은 듯하다.

박미영(시인·작가콜로퀴엄 사무국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