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 예술의전당 돈 먹는 하마?

개장 30개월 만에 33억 적자 논란

"경주 예술의전당은 '돈 먹는 하마'다. 대중성 있는 공연과 구조조정 등 정상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문화시설의 목적은 공공성에 있다. 경제 논리보다 서민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운영돼야 한다."

경주 예술의전당의 대규모 적자 운영이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개장 이후 매년 수십억원의 적자를 내며 이를 메우기 위한 세금 부담이 만만치 않은 탓이다. 반면 타 도시 문화시설보다 월등히 많은 공연 횟수와 싼 공연료로 거둔 문화적 성과를 장점으로 내세우는 이들도 많다. 문화사업의 공공성을 주장하는 것과 운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경영 논리를 적용하자는 주장 중 과연 어느 것이 옳은 것일까. 정수성(경주'새누리당) 국회의원은 최근 국정 발표를 통해 "경주 예술의전당이 개장 이후 2년 5개월 동안 모두 33억5천400만원의 운영적자를 냈다. 최소한의 재정자립도를 위해 수익을 올리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 측에 따르면 2010년 11월 개장 이후 예술의전당 수익은 지출금 48억6천100만원의 31%인 15억700만원에 불과하다. 또 이와는 별도로 예술의전당이 BTL사업(민간사업자가 설립한 시설물을 공공기관이 임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까닭에 경주시는 20년간 매해 90억원가량을 시공사인 삼성중공업 등에 지급해야 한다.

정 의원은 "지금 추세대로라면 임대가 끝난 후에도 예술의전당 운영 지원을 위해 매년 45억원 이상의 세금 부담이 발생할 것"이라며 "과도한 재정 부담은 다른 곳에서의 복지 사각을 초래할 수 있어 경주 시민 전체가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예술의전당 측은 정 의원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타 도시의 문화예술회관에 비해 높은 재정자립도를 보이고 있다"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경제 논리를 과도하게 적용할 경우 이용객들의 비용 부담이 늘어나는 등 오히려 만성적인 재정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주문화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문화예술회관의 재정자립도는 평균 18.3%를 나타낸 반면, 경주 예술의전당은 정 의원의 주장처럼 31%를 약간 웃돈 것으로 조사됐다. 즉 운영적인 측면에서 전국 평균보다 12.7포인트나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한 셈이다.

엄기백 경주 예술의전당 관장은 "운영 수익을 올리기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은 관람료를 더 받는 것이다. 결국 양질의 공연을 저가로 시민들에게 공급해야 할 공공 문화시설의 의무를 망각하는 일"이라며 "경주 예술의전당이 설립되고 지역 예술인들이 저렴한 사용료로 시설을 이용하는 까닭에 지역 예술의 진흥이 일어나고 있다. 이를 통한 경제 유발 효과도 고려해 달라"고 말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신동우기자 sdw@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