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이 공단 중심이고, 소외된 계층에 대한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관련, 구미시는 "장애인, 여성, 서민, 다문화가정 등 취약계층의 생계 안정을 위해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에 걸쳐 지속적으로 일자리를 확대해 왔고, 민선 5기 목표 7만 개를 이미 초과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정치'행정 분야의 실천 사례들이 평이하다는 지적과 관련 "환경자원화시설과 시립화장장 등 혐오시설 입지 선정 시 이해당사자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갈등을 최소화했고, 주민참여예산제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 의견을 전달받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위원회'연구회'예산학교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
지방세 연구동아리가 제시한 구체적인 정책과 관련, 구미시는 "재활용 건축자재 이용 건축물 신축 시 지방세제 개선 방안을 마련해 경북도 연구과제 발표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했다.
불산 누출 사고 발생 당시 주민 대피 등 대응 능력이 떨어졌고, 사후 대처 시스템도 미흡하다는 지적에 대해 "사상 유례없는 사고에도 시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들이 조기에 현장에 도착해 사고대책본부를 설치하는 등 신속한 초동 조치로 피해를 최소화했고, 특별재난지역 조기 선포 및 보상금 554억원을 지급했다"며 "올 1월 피해 주민들이 시장에게 사고 조기 수습과 원만한 해결에 대한 고마움의 뜻으로 '감사패'를 전달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청 내 안전재난과와 환경안전과를 신설해 화학사고 대응 매뉴얼을 대대적으로 정비했다"고 덧붙였다.
이창환기자
댓글 많은 뉴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文뇌물죄 기소에 "부동산 정책 실패하고 사위엔 특혜?" 국힘 일갈
이재명 대권가도 꽃길? 가시밭길?…대법원 재판 속도전 의견 분분
文, 뇌물죄 기소에 "터무니없고 황당…尹 탄핵에 대한 보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