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에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없을 가능성이 17일 제기됐다. 여야 열람위원 10명이 15일에 이어 17일에도 국가기록원을 방문했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북방한계선) 포기 취지 발언의 진실을 밝혀줄 대화록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국가기록원의 대통령기록물 보관 시스템이 복잡하게 운영돼 아직 찾지 못한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지만, 대화록 자체가 없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복수의 여야 관계자들은 "1차 예비열람에 이어 이날까지 두 차례 예비열람에서 대화록을 찾지 못했다"며 "즉석에서 만든 키워드를 입력해봤지만, 여전히 찾지 못해 대화록을 단순히 찾지 못하는 것인지, 대화록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인지 현재로선 알 수 없다"고 했다.
이 대화록은 2007년 10월 남북정상회담 직후 만들어져 국가기록원에서 보관하고 있는 '원본'으로, 여야가 최근 국정원이 공개한 대화록과 대조해 NLL 발언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열람하기로 한 것이다.
국가기록원에는 노 전 대통령 기록물만 755만 건 정도가 있고, 보관 시스템의 불안정 등으로 검색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국가기록원에 대화록이 보관돼 있지 않거나, 훼손'파기된 것으로 확인되면 정치적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가 애초에 대화록을 국가기록원에 넘기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노 전 대통령 측은 노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의원이 공개를 제안한 점 등을 근거로 이런 가능성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노무현재단 김경수 봉하사업본부장도 언론을 통해 "참여정부 시절 문서는 '이지원'(e-知園) 시스템과 함께 100% 국가기록원에 넘어갔다"며 "두 자료가 서로 링크가 돼 있지 않아 찾는 데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했다.
일각에선 누군가 고의적으로 대화록을 파기했거나, 자료 이관 과정에서 문서가 훼손됐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이관 작업을 담당하기 때문에 문서가 훼손'누락될 가능성이 크지 않고, 파기 등을 목적으로 외부인이 접근하는 것도 어렵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열람위원을 비롯한 관계자들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야는 18일 오후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를 소집해 이날까지의 상황을 보고하고,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대화록을 제쳐놓고 다른 자료를 먼저 찾을지, 열람 계획을 전면 수정할지 등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지현기자 everyda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文, 뇌물죄 기소에 "터무니없고 황당…尹 탄핵에 대한 보복"
文뇌물죄 기소에 "부동산 정책 실패하고 사위엔 특혜?" 국힘 일갈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이재명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