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7월 평균 최저기온이 1909년 관측 이후 두 번째로 높은 22.9℃를 기록했다.
대구기상대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지역의 평균 최저기온도 역대 2위인 25.1도로 최고로 높았던 1994년 25.4도에 비해 불과 0.3도 차이였다. 7월 평균기온도 대구 지역은 28.7도로 1994년(30.2도)과 1942년(29.3도)에 이어 역대 세 번째였다.
기온이 높게 형성되면서 열대야 현상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7월 대구경북지역의 평균 열대야 일수는 6일로 역대 2위를 기록했고, 대구지역의 열대야 일수는 19일로 지난 1973년 기상관측 이래 세 번째였다. 대구의 역대 최다 열대야 일수는 20일(1994년과 2008년)이다. 전국적으로 열대야 일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1994년으로 전국 평균이 8.9일이었고 중부지방은 17.7일, 남부지방은 15.4일 등이었다.
낮 최고기온이 33도를 넘는 폭염 일수도 많았다. 올해 7월 폭염 일수는 지난해(13일)보다 9일이나 많은 24일이나 됐고, 이는 28일을 기록한 1942년과 1994년에 이어 역대 세 번째 기록이다.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강수량 차이가 큰 '반쪽 장마' 현상도 수치로 확인됐다. 장마전선이 중부지방에 머물러 있던 8~27일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강수량은 평년 대비 각각 126%와 15%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반쪽 장마 현상은 북태평양고기압이 우리나라 부근에서 평년보다 북쪽에서 발달해 남부지방까지 확장한 가운데 장마전선이 주로 북한과 중부지방에만 걸려 있었기 때문이다.
대구기상대는 이달도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상순과 중순, 하순 모두 각각 평년기온인 25~28도, 24~27도, 23~25도를 웃돌 것으로 보인다.
대구기상대는 관계자는 "이달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평년보다 무더운 날이 많겠고 대기불안정으로 인해 국지적으로 많은 비가 오겠다"고 말했다.
서광호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