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지역 전문생산연구원 가운데 R&D가 가장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예산의 상당 부분을 대구시와 경북도 등 지자체로부터 지원을 받기 때문에 단순 '패션'지원 업무에 그치고 있어 무늬만 연구원이라는 비난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2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문생산기술연구소발전협의회 발대식을 했다. 전국 14개 전문생산기술연구소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해 새 정부 기조에 맞춰 전문연구원의 발전방안 등을 건의하는 자리였다.
이 자리에서는 14개 전문연구원의 개요가 소개됐다. 배포된 자료에 따르면 패션연은 지난해 예산 139억8천600만원 가운데 R&D는 12.0%에 불과,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4개 전문연구원의 평균 R&D 비중은 58.7% 였으며 지역 내 섬유관련 연구원인 다이텍연구원은 63.2%,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은 55.3%, 한국섬유기계연구원은 82.1%에 달했다.
한 관계자는 "전문생산기술연구소의 R&D 비중이 20%도 되지 않는다는 것은 연구원의 본질적인 역할에 대해 의심하게 하는 부분이다"며 "기술지원 분야 역시 단순 패션쇼와 행사 등에 치우쳐져 있어 '연구원'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다"고 말했다.
반면 패션연의 기술지원은 75.1%였다.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기술지원 분야가 패션쇼 등 행사가 대부분이라는 것은 장기적으로 기업에 필요한 '연구'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패션연이 대구시의 예산 의존도가 높은 것도 자체적으로 R&D를 통해 국가 예산을 따오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실제 2012년도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130여억원의 사업비 중 40여억원이 지자체로부터 나왔다. 업계는 운영비, 인건비 등을 제외했을 경우, 사업비의 70~80%가 지자체로부터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지자체 예산 의존도가 높아 눈치 보기에 빠질 수 있다는 것.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패션'이라는 특징이 R&D와는 다소 거리가 먼 부분이다"며 "그러다 보니 지자체 예산 지원이 많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수억원에 달하는 국고보조금 지원이 올해를 끝으로 급격히 줄어들고 대구시와 경북도의 예산도 삭감될 것으로 보여 지금의 낮은 R&D 비중을 늘리는 등 자구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10억원 가량의 경북도 예산이 내년에도 그대로 반영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며 "패션에 치우친 인력과 구조를 바꾸고 R&D 아이템을 발굴해 지자체 의존도를 낮춘 양질의 연구원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패션연 김충환 원장은 "R&D 비중이 작은 것은 분명히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올 들어 R&D 사업을 여러 건 따오는 등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며 "지자체 예산 의존도를 낮추면서 패션과 봉제의 균형을 맞춘 제대로 된 연구기관으로의 변화를 목표로 장기적인 개선책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