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행정과 시민의 소통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출범 6개월을 맞은 새 정부는 이른바 '정부 3.0'을 주요 국정과제의 하나로 내세우고 있다. 정부 3.0은 정부 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한 공공정보를 누구나 손쉽게 활용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자는 공공정보 개방 운동. '공급자' 위주에서 '국민중심'을 기치로 내걸고, 국민이 원하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전 과정에 대해', '국민중심으로' 제공한다는 게 정부 3.0의 기본 방향이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이달 23일 안전행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정부 3.0 추진회의에서' 대구시의 주요 추진과제와 우수사례를 발표하고, 정부 3.0의 가치와 공유'확산에 앞서 나서기로 했다.
대구시는 우선 '소통하는 투명한 대구' 실현을 위해 정보공개 및 공공데이터 개방을 확대한다. 2013년 기준 대구시 정보공개 항목은 250개로, 전년 162개에 비해 54.3% 증가했으며, 2014년에는 300개까지 늘린다. 또 지난해 기준 30개 항목의 공공데이터 개방을 오는 2017년까지 81개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공개용 문서는 생산 즉시 원문까지 사전 공개한다. 시민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온라인 협업공간'및 원문정보 사전공개를 위한 '원문정보공개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공공정보 제공 창구를 공공데이터 포털로 일원화한다.
다음으로 '일 잘하는 유능한 대구'를 목표로 부서간 칸막이를 없애고 협업 시스템을 구현한다. 대구시는 지난해부터 전국 최초로 2개 대형병원 및 25개 중소병원과 환자'병상'진료 정보를 공유하는 '응급의료 네트워크'를 구축해 대형병원 응급실 1인당 체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바 있다.
마지막으로 '시민 중심의 서비스 대구'를 추진, 시민에게 먼저 찾아가는 수요자 맞춤형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스타기업 지원을 위한 중소기업 희망 사다리를 구축해 규모별 단계적 지원을 강화하고, 시'구'군청 등 20개 공공기관, 47개 SNS를 1개 플랫폼으로 통합'운영해 원스톱 민원 처리와 쌍방향 소통 확대에 나선다.
여희광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앞으로 세부 추진방안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대구시가 선도적으로 정부 3.0의 지역 구현에 앞장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