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추석 떡 섭취 조심 "지난 5년새 76명 사망…방심하다가 큰일"

추석 떡 섭취 조심에 대해 누리꾼들의 눈길을 끌었다.

서울시가 추석을 앞두고 60세 이상 고령자들에게 추석 떡 섭취 조심을 알렸다.

지난 9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2007년 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5년 6개월 동안 서울에서만 음식을 먹다가 중 기도폐쇄로 사망한 사람이 76명이라고 밝혔다.

원인이 된 음식별로는 떡이 46.0%(35명)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고기 6.6%(5명), 낙지 3.9%(3명), 알약 1.3%(1명) 등의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76명의 사망자 중 48.7%(37명)가 80대 이상이었다. 70대는 31.6%(24명), 60대는 13.2%(10명)로 나이가 많을수록 사망자 수가 높았다.

특히 떡으로 인한 기도폐쇄 사망자 35명 모두 60세 이상인 것으로 조사돼 고령자들에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음식물 섭취 중 사망자가 60세 이상에 집중된 것은 치아상태가 좋지 못한 데다, 노환 등 지병으로 씹고, 삼키는 능력이 떨어지는 탓"이라며 "평소 음식물을 잘게 썰어 여러 번 씹는 식생활을 습관화하고, 하임리히법 등 기도 폐쇄 시 응급 대처법을 미리 배워둘 것"을 당부했다.

하임리히법은 기도가 막혔을 경우 필요한 응급조치이다. 방법은 기도가 막힌 환자가 의식이 남아 있을 때는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를 당겨주면 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유아의 기도가 막혔을 경우에는 턱을 잡고 등을 5회 정도 쳐주면 된다.

추석 떡 섭취 조심에 대해 누리꾼들은 "진짜 조심해야할 듯" "할머니 할아버지에게 말씀드려야겠네요" "우와 은근 떡먹다 죽은 사람 많구나" "추석 떡 섭취 조심 해야겠네~ 무섭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