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수성아트피아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아 한 일이 어린이합창단을 만든 것이었다. 원래부터 계획되어 있던 일인가 보다 하며 지휘자 선정, 단원 선발 등 정해져 있던 일들을 진행해나가면서도 큰 의미 부여를 하지는 못했다. 도시에는 '으레 이런 어린이합창단을 만드는구나!'라고 생각하면서 혹시나 밀양에서 만들었던 어린이극단 '반달'과 비슷한 성격을 나중에는 가질 수도 있을까 기대하는 정도였다.
그런데 합창단에서 첫 정기공연에 뮤지컬을 만들겠다고 하면서부터 합창단 일은 그냥 주어진 일이 아니라 내 일이 되었다. 작품 선정, 연출부 구성, 일정관리 등 모든 것에 신경을 쓰고 챙겨주어야 했다. 다행히 결과는 좋았다. 관객들은 역시 수성아트피아가 만든 합창단이라 창단공연부터가 다르구나 하면서 박수를 쳤고, 단원 아이들도 몇 날 며칠을 늦은 밤까지 고생한 건 싹 잊고 너무들 좋아했다. 그 덕에 첫 공연 후 신입단원 모집이 대성황을 이루었다.
첫발을 잘 내디딘 우리 어린이합창단은 올해 일일이 챙겨 기억하기 힘들 정도로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다. 경연대회, 합창제 등만 여러 번이고, 방송출연과 녹음에, 그리고 무엇보다 자랑스러운 건 대구국제오페라축제 메인공연에 이탈리아 성악가들, 기성 전문합창단과 함께 출연했다는 사실이다. 어린이합창단을 가지고 경쟁을 하고 서열을 매기고 하는 것이 전혀 부질없는 짓인 걸 알면서도 이게 부모 마음인가 하면서 수성아트피아 어린이합창단이 '대구서 제일 잘해요!'라는 소리를 들으면 괜히 어깨가 으쓱해지곤 한다. 토요일마다 앞마당, 로비에서 떠들썩하게 인사를 하며 달려오는 아이들을 보면 다 내 아이 같은 푸근함에 젖는다.
올봄부터는 평일에도 이틀씩 동네 아이들이 수성아트피아를 드나들 일이 생겼다. '꿈의 오케스트라' 단원이 된 50명의 초등학교 어린이들이다. 처음엔 로비를 뛰어다니며 바이올린 활로 칼싸움을 하던 아이들이 이제 제법 소리를 내는 걸 보면 '이게 음악의 힘이구나!'라며 대견스러워진다. 연말에 있을 합주발표회까지 얼마나 더 성장해 우리를 감동시킬까 생각하면 벌써부터 가슴이 뭉클해지려 한다.
수성아트피아 같은 기초자치단체의 아트센터는 독립적으로 전속단체니, 산하단체니 하는 예술단을 두기 힘든 상황이다. 그런데 어느새 지난 2년 사이에 어린이예술단만 두 개가 만들어졌다. 아이들과 함께 뮤지컬에 출연했던 엄마, 아빠들은 이제 본인들이 극단을 만들어 배우가 되려 하고 있다. 온 가족의 아트피아 예술단화(化)인가?
부모가 되고 나니 아이들이 건강하게 뛰어노는 모습은 신이 내린 축복 같아 보일 때가 있다. 일하면서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함께할 수 있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
최영(수성아트피아 공연기획팀장) furyoung@hanmail.net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