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지지층을 뺀 '민주당+정의당+안철수 무소속 의원+시민사회계+종교계'가 큰 우산 아래 들어갔다.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진상 규명과 민주헌정질서 회복을 위한 범야권 연석회의'(이하 연석회의)라는 이름으로 빅텐트를 친 것이다. 12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이들은 첫 회의를 열었다.
이날 연석회의는 대정부 요구안을 '국민에게 드리는 글'로 대신했다. ▷국가기관 선거 개입의 전모와 은폐 축소, 수사 방해 등 일체의 외압행위 진상 규명을 위한 특검 즉각 실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남재준 국정원장, 황교안 법무장관 즉각 해임 ▷관권선거 재발방지를 위한 개혁입법 단행이 골자였다.
연석회의는 앞으로 3대 요구 사항을 정부가 들어줄 때까지 각 지역 각계각층을 대상으로 시국선언운동을 전개한다. 또 '온라인 민주주의광장'을 만들어 시국선언운동과 서명운동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김한길 민주당 대표, 천호선 정의당 대표, 안 의원,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정현백 참여연대 공동대표, 소설가 황석영 씨, 조국 서울대 교수, 나승구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대표, 장주영 민주화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 지관 스님, 강성남 언론노조위원장, 남부원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 공동대표 등 100여 명이 참여했다.
김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불법 대선 개입의 진상 규명과 재발방지책 마련의 의지가 있다면 특검과 국정원 개혁 특위를 수용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안 의원은 "특검 논의에 앞서 지난 대선 정통성 시비는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국민이 원하지 않는 방법으로 목표를 관철하지 않겠다는 협의가 필요하다"면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한편, 민주당과 정의당, 안 의원은 국가기관의 불법 대선 개입 의혹 규명을 위한 특검법안을 단일안 형태로 공동발의키로 했다. 특검 추진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해 중지를 모은다는 것이다. 하지만 야권이 특검 법안을 공동 발의하더라도 원내 과반인 새누리당이 반대하면 특검 도입은 불가능하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권성동 "한 대행, 경선 출마 안 해…출마설 도움 안 돼"
국회 운영위, 이완규·함상훈 '지명 철회' 촉구 결의안 가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