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들이 인터넷, 텔레비전, 지하철 등지에 만연한 대부업 대출 광고를 막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금융정의연대, 녹색소비자연대, 금융소비자연맹, 희망살림, 에듀머니, 참여연대, YMCA 전국연맹 등 7개 시민단체는 오는 21일 '금융소비자네트워크 발족식'을 갖고 대부업 광고를 반대하는 시민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금융소비자네트워크 관계자는 "케이블TV, 인터넷, 전단, 지하철, 버스 등 일상에 만연한 대출광고에 대한 문제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캠페인, 간담회 등 공동행동 계획을 모색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최근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대부업 이용자들이 대출받은 대부업체를 알게 된 계기는 TV광고(26.5%), 인터넷광고(25.2%), 지인 소개(18.4%), 전단(15.6%), 신문광고(6.1%) 순으로 나타났다.
TV와 인터넷 광고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광고로 대부업체를 알게 된 사람이 74.4%에 이른다.
시민단체들은 어린이나 청소년은 케이블TV, 인터넷,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등에 대한 접근성이 이전 세대들보다 훨씬 높다면서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거나 금융정보가 없는 상태로 광고에 노출되면 대부업의 위험성을 모르고 대출을 받게 된다고 보고 있다.
2007년 대부업 광고가 지상파에서는 사라졌지만 여전히 눈만 돌리면 돈을 빌려준다는 대부업체 광고를 접할 수 있는 게 현실이다.
앞서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은 어린이와 청소년이 시청하는 시간대에 대부업 방송광고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의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법률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하기도 했다.
몇 달 전 대형 대부업체인 러시앤캐시는 "버스와 지하철만 탈 수 있나, 바쁠 땐 택시도 타는 거지"라는 대부업 광고 때문에 곤욕을 치렀다. 대부업을 미화한다는 여론에 러시앤캐시는 이 광고를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금융소비자네트워크 관계자는 "대부업 대출 이용자의 절반이 월 소득 150만원 미만의 저소득자이고 이용자 절반이 연체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결과를 고려하면 대부업의 친근한 이미지 광고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크다"고 말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
文, 뇌물죄 기소에 "터무니없고 황당…尹 탄핵에 대한 보복"
문형배, 尹 파면 후 "대통령·국회 갈등 해결 방도 없어"
안철수 "한덕수는 출마 포기, 김문수·한동훈은 결단해야"
26명 목숨 앗아간 경북 산불 피의자 2명 구속영장 기각